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광주 지하철을 타면 '호남의 문화'를 만날수 있어요!

    2004년 4월 개통 이후 5년간 광주 시민들의 발이 되어 온 광주지하철은 단순한 대중 교통수단이 아니다. '문화 지하철'이라는 별명이 보여주듯,문화적 볼거리를 톡톡히 제공하고 있다. 광주지하철 농성역에서는 호남지역 향토 · 역사 · 문화 등을 엿볼 수 있는 '호남학 100대 문화원형 콘텐츠관'이 있고,송정리역에는 국창 임방울 선생과 시인 용아 박용철 선생 생가가 있어 국창 선생의 삶을 살펴볼 수 있다. 또 판소리 체험공간,지역대표 문인들...

  • 경제 기타

    고전을 읽지 않는 청소년들… “책 편식은 이제 그만”

    '공중그네','시간을 달리는 소녀','스페인,너는 자유다'… 10대 청소년이라면 한번쯤 제목을 들어봤을 이 책들은 지난 몇 개월간 전국 다수의 도서관에서 '대출순위 탑10'의 명성을 유지하고 있는 소설과 에세이다. 이 신작들은 다양한 소재와,감성을 자극하는 구성으로 청소년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고전은 신작소설의 선풍적인 인기에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신작만을 찾는 청소년의 편독은 어제오늘 이야기가 ...

  • 생글 논술대회 어떻게 준비할까? …시사 이슈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공부를!

    기출문제 생글 홈페이지에 제8회 생글논술경시대회가 한 달이 채 남지 않았다. 생글생글이 중 · 고등학교 학생들의 생각하기와 글쓰기 실력을 평가하기 위해 봄 가을 1년에 두 번 시행하는 생글논술경시대회는 지난 7회 대회까지 총 3만5000여명이 참여한 전국 최대 규모의 논술 대회이다. 1,2,3학년 유형의 문제가 모두 출제되는 봄 대회에는 약 9000여명이 참가하고 있으며 1,2학년 유형이 출제되는 가을 대회에는 4000여명이 참가하고 있다...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31>

    사다리꼴을 이용한 구분구적 〔2008학년도 연세대학교 수시 논술 〕 S·논술 자연계 논술 팀장 ximpson@hanmail.net

  • 학습 길잡이 기타

    삼천갑자 동방삭이 객사한 사연

    염라대왕은 저승사자에게 18만년이나 장수를 누려온 동방삭을 잡아오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저승사자는 동방삭을 잡으려고 용인 땅에 왔으나 그의 형체를 알지 못해 잡을 도리가 없자 한 가지 꾀를 냅니다. 동방삭이 호기심이 많다는 얘기를 들은 저승사자는 이 세상에서 아무도 하지 않는 일을 하고 있으면 그 모습을 보기 위해 제 발로 찾아 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 날부터 저승사자는 숯내에서 검은 숯을 빨래를 하듯 빨기 시작합니다. 오랜 시간이...

  • 학습 길잡이 기타

    112. 군더더기 : '~에 있어(서)'의 남용

    문장의 생명은 '간결함'이다 "우리나라는 대만 중국과 더불어 반도체 자동차 전자제품 등 고부가가치 제조업을 기반으로 경제를 운용하는 나라로 분류된다. 제조업에 있어서는 상당한 경쟁력을 갖췄다고 하지만 세계 1위인 제품은 의외로 적다." "특히 요즘처럼 새로운 금융상품이 출현하거나 금융제도가 급변하는 시대에 있어서는 이에 맞는 통화지표를 개발하는 과제가 중앙은행의 가장 큰 역할 중의 하나다." 글을 쓸 때 습관적으로 '~에 있어(서)'란 표...

  • 학습 길잡이 기타

    대학별 적성평가 전형 분석 - <5> 가천의과대학교

    적성평가 반영비율 수시 1차 70%로 확대 수시1차 적성평가 반영비율이 전년도 30%에서 70%로 확대되어 매우 높아졌다. 적성평가의 실질 반영비율이 70%인 것이다. 적성평가는 계열구분 없이 언어 50문항,수리 50문항을 60분 안에 풀어야 한다. 전년보다 시간은 20분 줄고 문항 수도 40문항이 줄었다. 하지만 실질반영점수가 150점에서 200점으로 50점 증가하여 적성평가의 영향력은 더 커졌다. 대학 졸업 후 취업이 어려운 현실...

  • 학습 길잡이 기타

    Essay <43>- Quitters Never Win : Winners Never Quit!

    ▶ Rule 10 : 대명사를 정확하게 사용하라. 대명사는 문장 내에서 명사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항상 어떠한 대명사를 문장 내에 사용하더라도 그것의 선행사가 무엇인지 나타내는 것이 명확하여야 한다. 선행사라는 것은 대명사가 나타내는 특별한 명사를 말한다. Incorrect : The teacher told the student he was lazy. Correct : The student was lazy,and the 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