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국회의원은 法만들기 너무 간단해
국회의원은 10명 서명만 있으면 법안 발의 국회의원 통해 간접 입법하는 정부도 문제 우리가 실생활에서 지켜야 하는 법은 모두 국회를 통과해야 한다. 국회의원들이 국민들을 대신해 입법안에 대한 찬반 투표를 거쳐 만들어진 결과물인 것이다. 그렇다면 국회에서 논의되는 법들은 누가 만들어내는 것일까.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누가 국회에 법을 발의하는 것일까. 우리나라에선 국회,즉 국회의원과 정부 두 주체가 법을 발의할 수 있다. 이런 권리를 ...
-
커버스토리
'마구잡이' 입법··· 18대 국회 2년만에 8천건, 헉!
법은 대부분이 국민의 자유나 행동규제··· 포퓰리즘 수두룩 의원입법은 국회의원의 정당한 권리이자 당연한 책무이기도 하다. 민의를 적절하게 수용하는 창구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부입법이 놓칠 수 있는 민생 관련 정책들을 보완할 수도 있다. 문제는 악용 내지는 남용될 때다. 법안의 타당성 여부를 놓고 여야 간 내지는 국회와 정부 간 소모적인 갈등이 벌어질 수 있고 전체 국민과 국가의 이익에 큰 해악을 끼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
-
경제 기타
잘 나가던 중국 경제 '브레이크' 걸리나
경기지표 둔화··· 원자바오, 정부정책 딜레마 호소 "더블딥 빠질수도" vs "과열 경제 안정화 과정일뿐" 중국의 경기지표들이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원자바오 중국 총리가 '정부정책의 딜레마'를 호소해 전 세계적으로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위안화 절상과 부동산 경기침체,제조업 수익력 약화 등으로 중국 경제가 더블딥에 빠질 수 있다는 '비관론'까지 나온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경기 둔화가 다분히 '의도'된 것인 만큼 ...
-
과학 기타
인류 건가의 '공공의 적' 암(癌)··· 정복 길 열릴까
피 한방우로 암 진단·악성 진행 조기 차단 연구도 활발 암은 아직까지 인류가 제일 두려워하는 난치병이다. 인류는 과학기술 개발을 통해 암을 정복할 수 있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중이다. 현재로서 암에 대처하는 방법은 외과적 수술과 항암치료를 제외하고는 두가지다. 첫째는 암 치료용 신약개발이고 둘째는 조기진단을 통한 초기 치료다. 그러나 신약 개발은 막대한 자본과 인력,원천 기술이 필요하며 이 부분에서 다국적 제약회사에 비해 경쟁력이 턱없이...
-
이공계 유망학과 ④ - 원자력공학과
원전을 대한민국 최고 수출품으로 키울 전문인력 양성 병원의 방사선 진단·치료 분야에도 진출 원자력공학과는 지난해 말 우리나라가 총 400억달러(약 47조원)에 이르는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발전 플랜트를 수주하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번 수주는 쏘나타 자동차 200만대나 유조선 360척에 맞먹을 정도로 엄청난 규모다. 원자력발전이 새로운 수출 효자 분야로 떠오른 것이다. 원자력발전은 인류의 미래를 뒷받침할 에너지라는 점에서도 중...
-
나의 대학전공 ④ 김완주 원자력안전기술원 책임연구원-원자핵공학과
김완주 원자력 안전기술원책임 연구원은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경험을 쌓은 원자력 공학 엔지니어다. 김 책임연구원은 서울대 원자핵공학과를 졸업하고 KAIST원자력공학과에서 석·박사를마쳤다. 박사학위를 딴 뒤에는 삼성물산에 입사해 울진원자력발전소 건설현장등에서 6년정도 일했다. 2000년부터 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근무 하고 있다. 원자력안전기술원은 원자력발전소와 방사선발생장치등의 안전성을 심사·검사하는 기관이다. 김책임연구원은 “기업에서 원자력...
-
TESAT 공부하기 기타
소득 양극화가 심화됐음을 알 수 있는 지표는?
문제 1 다음은 통계청 자료를 기초로 작성한 소득별 계층 비중이다. 이를 통해 분석한 올바른 내용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갑자;2003년과 비교했을 때,2009년 중산층이 줄어들면서 빈곤층과 상류층의 비중이 각각 커지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의 양극화가 심해졌음을 의미해. 을순;위 소득별 계층 비중을 놓고 봤을 때,2003년 대비 2009년의 10분위 분배율은 커졌다고 할 수 있어. 병자;소득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 역...
-
경제 기타
(13) 탄력성(上)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왜 티켓 값을 계속 올리려 할까 "앵무새도 수요와 공급이라고 말하는 법만 배우면 경제학자가 될 수 있다"는 예전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유명한 우스갯소리가 있다. 물론 상당히 과장된 표현이기는 하지만 전혀 일리가 없는 농담은 아니다. 경제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 수요와 공급은 그만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앞선 시간을 통해 가격과 수요량은 수요의 법칙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며, 가격과 공급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