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크리스마스의 선물'과 수요 변화의 요인

    유래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고령화되는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장수(長壽)는 더 이상 축복할 수만은 없는 일이 되어버렸다. 장수가 어차피 주어진 것이라면,이제는 어떻게 하면 무병(無病)할 수 있을까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그래서일까? 음식과 식품에 대한 정보가 넘쳐나는 요즘이다. '음식 정보의 홍수시대'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이는 음식이 저마다의 독특한 성분과 맛을 통해 인간의 육체와 정신에 영향을 주고...

  • 경제 기타

    (12) 고리대금업과 경제

    대부업자 '샤일록'은 악인이었을까 중세 종교적 이유로 고리대금업 탄압 돈 흐름 끊어져 시민 봉기 일어나기도 "너는 그에게 이자를 위하여 돈을 꾸어주지 말고 이익을 위하여 네 양식을 꾸어주지 말라."(구약 레위기 25:37) "오 믿는 자여,두 배 또 두 배로 지나치게 탐욕을 부리지 말라."(코란 3:130) "아무것도 바라지 말고 꾸어주라."(신약 누가 6:35) 고리대금업(usury)에 대해서는 어느 종교,어느 문명권도 관대하지 않...

  • 경제 기타

    (4) 현금영수증제도

    현금영수증제도는 세계적 '명품' 선진국 · IMF "우리도 벤치마킹" 호랑이도 무서워 한다는게 세금이라는 얘기가 있다. 오랜 역사에서 생겨난 세금의 이름을 살펴보면 충분히 그럴만도 하다. 오줌세 수염세 같은 우스꽝 스러운 세금이 생겼다가 원성과 함께 자취를 감춘적이 더러 있기 때문이다. 1세기때 로마 베스파시아누스황제는 섬유업자에게 오줌세를 매겼다. 섬유업을 하는 사람들이 공중변소에서 수거한 오줌으로 양털의 기름기를 제거했다는게 그 ...

  • TESAT 공부하기 기타

    '저축'의 거시 경제적 효과와 의미는?

    문제 1 거시경제학에서는 저축은 소득 중 소비되지 않은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저축'의 거시경제적 효과와 의미에 대한 다음 평가 중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거시경제적으로는 소비가 미덕이므로 저축을 항상 0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② 경제가 완전 고용 상태에 있는 경우 저축 성향이 줄어들면 디플레이션이 유발될 수 있다. ③ 불황에 빠진 경제에서는 이에 대응해 사람들이 저축을 줄이고 소비를 늘리면서 경제가 더욱 침체된다. ④ ...

  • 경제 기타

    립싱크 금지법 타당한가요.

    찬 “입만 벙긋 거리고 큰 돈챙기는 건 잘못 반 “자칫 한류 붐에 찬물 끼얹을 수도 있어” 최근 각종 오디션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있는 가운데 가수들의 립싱크(녹음된 노래를 실제 노래 하듯이 입모양만 따라하는 것)및 핸드싱크 (녹음된 연주를 실제 연주하듯이 보여주는 것)를 금지하는 내용의 립싱크 금지법이 발의돼 논란이일고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명수 자유선 진당의원은 “돈을 내고 보는 공연에서 사전고지 없이 립싱크를 하는것은 관...

  • 학습 길잡이 기타

    (8) 광운대

    시사 이슈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접근 #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이번 주 논술 프로파일링은 광운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 살펴보았던 경기대학교처럼 광운대학교도 대학별고사를 적성검사나 면접으로 알고 있는 학생들이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학교 측에서 발표한 2012년 수시 입시요강을 살펴보면 꽤 오랫동안 해왔던 적성검사전형을 올해부터 폐지하기로 했답니다. 즉 이제 광운대학교 대학별고사는 면접과 논술만 존재한다는 것이지요. 실제로 수시 1차에...

  • 학습 길잡이 기타

    (61) “문제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줄 알아야”

    지난 시간에 설명드린 2 대 2의 대립항 문제를 실제로 풀어보면서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너무나 흔하게 나오는 유형이만큼 그 구조나 전개를 확실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중급교재 p.18에 있습니다. ) 다음 문제는 가톨릭대학교의 2009학년도 수시 기출문제를 참고했습니다. <문제> 제시문 (가)와 (나)는 내용상 대립적이다. 그 대비점을 서술하시오. (400자 내외) 가 ① 모든 민족의 모국어 안에는 하나의 세...

  • 진학 길잡이 기타

    한양대 전기생체공학과 1년 - 미래인재

    “'나만의반성표'가 사정관제 좁은문 활짝열었죠” "제가 입학사정관전형으로 대학문을 연 것은 '반성표' 덕이라고 생각합니다. 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에 나오는 13가지 덕목에 4가지를 추가한 17가지 덕목에 대해 매일 반성하면서 '더 나은 나'가 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 이공계 기업의 최고경영자(CEO)가 꿈인 김병민 군(한양대 전기생체공학과 1년)은 고등학교 시절 동아리 부장,학급 반장 등을 맡으면서 리더십을 쌓는 활동에 노력을 기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