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기초 통계 유형 (1)

    기말고사 기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학생들 중에는 기말고사까지 내신에 충실을 기한 뒤 방학을 이용해 논술에 집중하고 싶다는 이야기를 종종 듣습니다. 1주일에 몇 번씩 수업을 몰아서 듣는다면 한두 달 안에 일정 수준까지 올릴 수 있다는 생각이지요. 학교 현장에서도 이런 이야기는 많습니다. 수능을 최우선으로 둬야 하는 상황에서 그 다음이 내신, 그 다음이 대학별고사 뭐 이런 식이지요. 설사 그렇다고 하더라도, 방학이라는 특정 기간에 논술에 과대 ...

  • 교양 기타

    (47) 이즈미 교카 '고야산 스님'

    아련한 통증 같은 불가해함 쓰레기를 태우다가 비닐농이 손가락 끝에 떨어져 물집이 잡혔다. 팥알보다도 작은 것이어서 대수롭지 않게 잡아 뜯었는데 의외로 피부 깊이 뜯겨 나왔다. 금방 피가 쏟아지지는 않았으나 정말로 팥알처럼 붉은 화상이 된 것이었다. 마침 그것이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이어서 여러 날 동안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다. 서랍 속의 이런저런 연고를 바르며 며칠이 지나자 점차 아픔은 간지러움 비슷한 느낌으로 변하고 이어서 뻐근한 느낌으로...

  • 경제 기타

    '정규재TV'는 바보상자 아닌 보물상자 등

    '정규재TV'는 바보상자 아닌 보물상자 정규재TV를 요즘 재미있게 보고 있다. 정규재TV는 한국경제신문 정규재 논설실장(생글생글을 창간한 분이라는 얘기도 들었다)이 등장하는 팟캐스트다. 인터넷을 탄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방문객이 20만명에 육박할 정도로 인기라는 얘기를 들었다. 광팬의 한 사람으로서 정말 기쁘다. 정규재TV를 좋아하는 이유는 신문보다 인터넷 문화에 더 익숙한 우리 세대의 입맛에 맞게 팟캐스트 형식을 띠고 있어서다. 신문을 ...

  • (17) 연역과 귀납

    이번 연재에서는 논리학의 연역추론과 귀납추론을 알아 보고 2013학년도 가천대, 을지대 적성전형을 분석해 본다. 전통적으로 논증(추론)은 연역과 귀납이라는 두 유형으로 구분돼 왔다. 연역 논증은 전제들이 참이면, 반드시(필연적으로) 결론이 참이 되는 논증이다. 반면에 귀납 논증은 전제들이 참이면 결론도 반드시 참이 되지는 않고 다만 참이 될 가능성이 높은 논증이다. 연역과 귀납을 구별하는 유형은 정답률이 매우 낮다. 따라서 외우기보다는 확실하게...

  • 진학 길잡이 기타

    사관학교, 수시 지원 횟수에 포함안돼 복수지원 가능

    육군·해군·공군· 국군간호사관학교…이달 25일부터 원서접수 시작 올해 수시모집은 지난해와 달리 총 6회까지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지원제한은 4년제 대학(188개대학)과 교육대(10개대학)에만 적용되며 산업대와 전문대 그리고 특별법에 의해 설치된 대학은 6회 지원제한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 중 특별법에 의해 설치된 대학은 육사, 해사, 공사, 국간사, 경찰대, 카이스트 등 11개 대학이다. 사관학교는 졸업 후 군 장교로 복무하면서 전문...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158>

    일차변환과 타원 [ 2012학년도 인하대학교 수시 2차 논술고사 中 일부]

  • (8·끝) 글에 익숙해지면 공부가 쉬워진다

    '공부불패'저자 유재원이 전하는 명문대 가는 공부의 법칙 '책을 많이 읽는 학생들이 공부도 잘한다.' 아마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괜히 나온 소리는 아니다. 책을 많이 읽으면 확실히 공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나도 그랬고, 내가 만난 서울대생들은 대부분 책을 좋아하고 많이 읽었다. 어렸을 때부터 쌓은 독서량이 공부하는 데 중요한 자양분 역할을 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하지만 막상 책을 읽으려고 하면 쉽게 손이 ...

  • 학습 길잡이 기타

    (56) 나는 중심에서 펄럭이는 깃발

    옛글자 현재글자 이어공부하기 고사성어 -오리무중(五里霧中) : 오리나 되는 짙은 안개 속에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 대해 방향이나 갈피를 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낭중지추(囊中之錐) :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으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사람들에게 알려짐을 이르는 말. 이어공부하기 한자어 -중세(中世) : 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로, 고대에 이어 근대에 선행(先行)하는 시기. 서양에서는 5세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