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학습 길잡이 기타
교내활동 중 독서활동이 정말 중요하군요!
현민의 스토리면접 (4) ▧ 들어가며… 면접이란 무엇일까? 이에 대한 답은 면접 문제를 형성하는 질문군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지원 대학과 지원 학과에 대한 학생의 열정은 자기소개서를 통해서, 이에 대한 객관적 증명은 학교생활기록부를 통해서 질문지를 만든다. 더군다나 2015학년도부터는 학교 내의 활동만으로 대입 수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교과 관련 외부 수상 실적 및 활동은 수시 지원에 제출하지 못하게 하였다. 따라서, 면접도 제출서류...
-
학습 길잡이 기타
<18> 논술 유형 탐구- 비교하기 (1)
이제 공통점 찾기에 이어 두 번째 유형인 비교하기를 설명할 때가 왔군요. 공통점 찾기에 비해 알아두어야 할 점이 좀 더 많답니다. 더 어렵기도 하고요. 기본적인 문제 유형부터 알아볼까요? 비교하기는 문제의 유형이 좀 더 세분화되거든요. ①두 제시문 간의 관점을 비교하라는 문제 ②특정한 기준 a에 대해 두 제시문이 갖는 관점을 비교하라는 문제 ③특정한 기준 a에 대해 세 제시문 간의 관점을 비교하라는 문제 ④복수의 제시문 간의 관점을 2개씩 묶...
-
학습 길잡이 기타
<227> 교과형 수리논술 - 지수법칙
최준원 < S·논술 자연계 논술팀장 vach2357@gmail.com >
-
진학 길잡이 기타
내신성적 부족하면 실질반영비율 작은 대학 공략
▷ 2015학년도 대입 주요특징- 총괄 (6) 중하위권 수험생, 적성검사전형 준비 2015학년도 수시 및 정시모집을 통해 선발하는 인원은 지난해보다 400여명 줄어든 37만9107명이다. 올해 입시제도는 의치예학과 모집인원 확대 및 수능 영어영역 AB형 통합 등 전년도보다 대학 진학이 다소 유리한 환경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재수생이 1만~2만명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상위권 수험생은 물론 서울 소재 중하위권 대학을 지망하는 수험생...
-
경제 기타
선행학습 금지하는 게 옳을까요?
초·중·고등학생의 선행학습을 금지하는 '공교육 정상화 촉진·선행교육 규제 특별법'(선행학습금지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초·중·고의 정규 교육과정과 방과후 학교 과정에서 선행교육을 금지하고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평가도 금지시킨 게 골자다. 학원 또는 개인 과외 교습자는 선행교육을 광고하거나 선전할 수 없도록 했다. 이 법은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선행교육 규제'를 들고 나온 데서 비롯됐다. 학교와 학원 모두 선행학습을 하다보니 공교...
-
역사 기타
주인 배반하는 대리인의 일탈…국가도 조폭도 막지 못했다
영화로 쓰는 경제학원론 '범죄와의 전쟁' 통해 본 대리인의 한계 “이 넓은 부산항을 우리 넷이 다 관리한다 아입니까.”1982년 부산. 부산항 세관 공무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경주 최씨 충렬공파 35대손' 익현(최민식 분)은 시계 밀수업자에게 이처럼 의기양양한 표정으로 돈을 요구한다. 그는 전형적인 비리 공무원이다. 밀수를 눈감아 주는 대신 밀수품과 뇌물을 챙긴다. 익현뿐 아니라 영화 속 세관 공무원들은 일상적으로 뇌물을 받는다. 부끄러워...
-
경제 기타
中 시장경제 이끈건 덩샤오핑의 '1978년 담화' 아니다
지방의 농가경영체가 개혁 발단 사회주의 실현을 위한 대약진운동 과정에서 수천만 명이 굶어 죽고, 문화혁명으로 경제발전이 10년 이상 후퇴했던 중국이 개혁·개방을 시작한 것은 마오쩌둥 사망 2년 후인 1978년이다. 이후 중국 경제는 급속한 성장을 이어가며 2012년 현재 국내총생산(GDP) 8조2270억달러로 세계 2위의 경제 규모로 커졌다. 중국은 21세기로 접어들 무렵부터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해왔으며 글로벌 금융위기로 선진국이 극심한 경기...
-
경제 기타
(18) 인플레이션 때 돈을 버는 '미술품 경매사'
많은 국가들의 중앙은행이 목표로 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물가 안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한국은행법 제1조에서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통한 물가안정'이 한국은행의 설립 목적임을 명확하게 언급하고 있다. 물가는 다른 어떤 요인보다 국민들의 실제 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특히 자주 문제가 되는 것은 급격한 물가의 상승이다. 경제학에서는 일반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는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