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금융 상식 퀴즈
3월 3일자
1. 최근 삼성 '갤럭시S5' 등 최신 정보기술(IT) 기기가 이곳에서 공개됐다. 스페인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IT 박람회인 이것은? (1)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국제소비자가전쇼(CES) (3)국제가전박람회(IFA) (4)바젤월드 2. 세계 경제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사상 첫 여성 의장 이름은? (1)벤 버냉키 (2)재닛 옐런 (3)로렌스 서머스 (4)로버트 루비니 3. 최근 증시에서 줄기세...
-
경제 기타
나라경제 건실성 보여주는 외채규모·외화 유동성
뚝 떨어진 단기외채 비중 우리나라의 총외채 중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1999년 2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외채 구조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작년 12월말 기준 총외채는 4166억달러로 전년말 대비 72억달러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이중 단기외채는 1128억달러로 전년말 대비 143억달러 감소했으나, 장기외채는 3037억달러로 216억달러 증가했다. - 2월 20일 한국경제신문 ☞ 한 나라 경제가 건실한지...
-
경제 기타
월마트보다 사랑받는 코스트코, 왜? 등
때 이른 이상고온 현상에도 불구하고 빙과업체 주가는 연일 하락세다. 위닉스 하림 등 고공 행진하던 다른 여름 수혜주 역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자 주가는 오히려 약세 반전하고 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빙그레 주가는 지난 3일 1.11% 하락한 8만200원으로 마감, 2012년 7월16일(8만1900원) 이후 2년여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올 들어 9만~10만원대에서 오르락내리락하던 주가는 기온이 올라가기 시작한 지난달 이후 연일 뒷...
-
경제 기타
SNS 콘텐츠 무단공표와 '개인의 선택' 등
SNS 콘텐츠 무단공표와 '개인의 선택' '군중 속의 고독'이라는 표현이 잘 어울리는 현대인들에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하나의 축복처럼 보인다. 공동체적 정서의 퇴색과 개인주의적 성향의 정착은 현대인들에게 '소통의 욕구'를 느끼게 해주고 있다. 이 같은 욕구는 과학의 진보로 채워지고 있다.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와 같은 '개방형 SNS'는 안성맞춤이다. 개방형 SNS는 동시에 많은 문제점을 낳았다. 미국의 한 아이는 스타워즈 장면...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Bertrand's paradox (베르트랑의 역설) 1889년 프랑스의 수학자 조제프 베르트랑은 그의 저서 Calcul des probabilites (확률론)에서 접근하는 관점에 따라 1/2, 1/3, 1/4 로 제각각 서로 다른 답이 얻어지는 알쏭달쏭한 문제를 소개했다. 베르트랑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원에서 임의의 현을 생각하자. 이 현의 길이가 원에 내접하는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보다 ...
-
경제 기타
(3) 한국경제사의 흐름: 시대구분
경제사의 관점에서 한국사의 흐름은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 연속적인 경제의 변화를 나누는 것은 살아 있는 생선을 토막 치는 것과 같지 않을까? 그래도 큰 고민 없이 나눌 수 있는 것은 첫 번째는 농업의 시작이며, 두 번째는 산업화(공업화)다. 농업의 시작은 식량 획득 방법이 수렵·채집에서 작물재배와 가축사육으로 바뀌기 시작한 것을 의미한다. 동물을 사냥하고 나무열매를 따거나 물고기를 잡고 조개를 주어서 먹을 것을 구하던 사람들이 곡식을 심고 ...
-
경제 기타
(6) 정부의 1년 살림살이 계획, '예산'
정부가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국민의 복지 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여러 가지 활동을 재정이라고 합니다. 정부는 재정 활동을 하기 위해 1년 동안 어떤 곳에 어떤 목적으로 얼마의 돈을 지출할 것인지에 대해 계획을 수립하고 이런 일을 하는 데 필요한 돈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에 대한 예산을 구체적으로 마련합니다. 즉 예산이란 정부가 1년 동안의 살림살이를 미리 계획해놓은 것입니다. 가정의 살림살이에서 소득보다 지출이 많으면 적자가 되고 반대로 소득...
-
테샛 공부합시다
22회 테샛 평균 186점…고교생 S급 14명 획득
지난 22일 시행된 22회 테샛 응시자들의 성적을 가채점한 결과 평균 성적이 186점(300점 만점. 100점 만점 기준 62점)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신문 테샛위원회가 난이도 기준으로 삼은 180점(100점 만점 기준 60점)보다 소폭 높은 수준이다. 21회 시험(평균 170점)보다 점수가 높아졌다. ○…테샛위원회가 26일 22회 테샛 응시자들의 성적을 가채점한 결과 응시자들의 평균 성적은 185.7점으로 집계됐다. 영역별로는 경제이론이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