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 논술 첨삭노트] <18> 논술 유형 탐구- 비교하기 (1)](https://img.hankyung.com/photo/201402/01.8418639.1.jpg) 
                        
                            기본적인 문제 유형부터 알아볼까요? 비교하기는 문제의 유형이 좀 더 세분화되거든요. ①두 제시문 간의 관점을 비교하라는 문제 ②특정한 기준 a에 대해 두 제시문이 갖는 관점을 비교하라는 문제 ③특정한 기준 a에 대해 세 제시문 간의 관점을 비교하라는 문제 ④복수의 제시문 간의 관점을 2개씩 묶어서 비교하라는 문제.
겉으로 보기에는 매우 복잡한 유형인 듯 보이지만, 사실은 ①번 형태가 적용되는 방식이 다를 뿐, 모두 ①번의 변이에 불과합니다. ③번 유형의 경우 연세대가 전통적으로 내는 방식이었지만, 작년에는 포기했더군요. (즉, 연대는 문제 유형을 고정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비교하기는 언제나 독해의 기본이 되는 훈련이므로 훗날 상위권 대학을 노리는 친구들에게도 반드시 필요하답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보면 우리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알아야 할 사실들이 좀 있습니다. 우선, 비교를 위해서는 하나의 기준이 필요하다는 것과 그 기준에 따라서 양갈래의 방향성을 지닌 서로 다른 관점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남성과 여성을 놓고 비교한다고 봅시다. 이 두 개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우선 공통의 기준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남성적이고 저것은 여성적이야’라고 단순히 말하지 않는다는 뜻이지요. 대개의 논술 제시문들은 특정한 주제나 문제의식에 대해 서로 다른 결론을 내놓은 제시문들을 제시하기 때문에 그 특정한 주제나 문제의식이 무엇인지 맞히는 것 자체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흔히 두 제시문 간의 ‘공통점’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남성과 여성은 모두 인간이라는 공통점을 지니지요. 하지만, 성별이 다릅니다. 우리는 이에 대해 “둘 다 인간이지만, 성별이 달라”라고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생글 논술 첨삭노트] <18> 논술 유형 탐구- 비교하기 (1)](https://img.hankyung.com/photo/201402/AA.8416545.1.jpg) 
                    
                        그러므로, 우리는 굳이 ‘비교하기’와 같은 단순한 문제에 공통점을 쓸 이유가 없습니다. 우리는 그저 공통된 소재로서의 기준을 쓰는 것뿐입니다.
비교하기를 위해서 알아야 할 내용들 다시 돌아와서 이야기하자면,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서로 양립하는 다양한 관점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어야 합니다. 물론 그 이전에 세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문제의식들이 있다는 것도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양립하는 다양한 관점을 이해해야 하는 것은, 그것이 우리가 비교를 위해 종종 사용하는 기준틀이 되기 때문입니다. 즉, 특정한 기준에 대해 2개의 해답이 있다고 합시다. 그렇다면, 그 2개가 서로 각자의 대립쌍을 이루겠지요. 다음처럼요.
![[생글 논술 첨삭노트] <18> 논술 유형 탐구- 비교하기 (1)](https://img.hankyung.com/photo/201402/AA.8416546.1.jpg) 
                    
                        ![[생글 논술 첨삭노트] <18> 논술 유형 탐구- 비교하기 (1)](https://img.hankyung.com/photo/201402/AA.8416547.1.jpg) 
                    
                        순서상으로는 물론 공통점 찾기와 마찬가지로 결론부터 쓰는 것입니다.
![[생글 논술 첨삭노트] <18> 논술 유형 탐구- 비교하기 (1)](https://img.hankyung.com/photo/201402/AA.8416548.1.jpg) 
                    
                        ![[생글 논술 첨삭노트] <18> 논술 유형 탐구- 비교하기 (1)](https://img.hankyung.com/photo/201402/01.8418638.1.jpg) 
                    
                        ![[생글 논술 첨삭노트] <18> 논술 유형 탐구- 비교하기 (1)](https://img.hankyung.com/photo/201402/AA.8416549.1.jpg) 
                    
                        표현 방식이 이리도 다를 수 있지요.
![[생글 논술 첨삭노트] <18> 논술 유형 탐구- 비교하기 (1)](https://img.hankyung.com/photo/201402/01.8418637.1.jpg) 
                        
                            이용준 < S·논술 인문 대표강사 sgsgnote@gmail.com >
![[재미있는 수학] '장미 그림'으로 시각화…통계로 세상 구한 나이팅게일](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524.3.jpg)
![[재미있는 수학] 숫자 대할 때 1이 자주 나타나는 이유는 뭘까요?](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705.3.jpg)
![[재미있는 수학] 2차 관계식은 도형의 완벽함 그려내는 마법 주문](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199308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