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13억 인구·내수규모 5000조...빗장 열린 '최대 교역국'...韓·中 관계 '성숙모드'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은 양국 간 교역이 성숙단계에 진입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1992년 8월 수교 이후 22년 만에 양국이 또 하나의 큰 외교적 협력체제를 구축한 셈이다. 이로써 우리나라 '경제 영토'는 73%로 넓어졌다. 우리나라와 FTA를 맺은 51개국이 차지하는 국내총생산(GDP)이 전 세계의 73%에 달한다는 의미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13억 인구, 내수 시장 5000조원이라는 거대한 시장의 빗장을 연 것이다. 물론 한·중 FT...

  • 커버스토리

    경제영토 넓히는 중국 FTAAP 등 타결 속도전

    중국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의 실질적 타결 선언을 계기로 경제영토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국이 지난 11일 베이징에서 개최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선 아시아태평양자유무역지대(FTAAP) 창설을 위한 로드맵을 정식으로 채택했다. FTAAP 실현에 관한 공동 ‘전략연구’를 조속한 시일 내에 시작해 2016년까지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중국은 한국에 이...

  • 커버스토리

    세계 3대 경제권과 FTA…한국 '경제영토 넓어졌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1948년 우리나라의 무역 규모는 2억3000만달러였다. 이 중 2200만달러만 수출이었고, 나머지는 외국의 원조형 수입이 대부분이었다. 무역이라고 부를 것도 없는 수준의 형편없는 나라였다. 무엇을 만들어 팔 것이 없던 가난한 나라의 전형이었다. 이런 나라가 올해도 무역 규모 1조달러를 넘어설 전망이다. 2013년에 이어 2년 연속이다. 무역만이 살길…잿더미의 기적 우리나라는 무(無)에서 유(有)를 이뤘다...

  • 경제 기타

    유튜브, 스트리밍 서비스 '초읽기'…음반시장 지각변동 올까

    구글의 동영상 공유 사이트 유튜브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해 2000여곳의 저예산 독립음반사(인디 레이블)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지난 11일 보도했다.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는 디지털 음원을 PC나 MP3플레이어 등에 내려받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해 실시간으로 음악을 감상하는 서비스다. 유튜브는 수주 내에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유튜브는 올초 소니와 워너, 유니버설 등 ...

  • 경제 기타

    향후 25년 동안 전 세계 원전 폐기비용만 110조원

    국제원자력기구(IEA)가 앞으로 25년 동안 세계의 낡은 원자력발전소를 폐기하는 데 1000억달러(약 109조5000억원)가 넘는 비용이 들 것이라는 전망을 발표했다. IEA는 지난 12일 연례보고서를 통해 2040년까지 약 200개의 원자로가 폐기될 예정인 만큼, 각국 정부가 비용과 안전 문제에 대해 충분히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폴 도르프만 런던대 에너지연구소 연구원은 “1000억달러는 원자로 폐쇄 비용일 뿐 영구적인 폐끼물 ...

  • 경제 기타

    車 튜닝업체 "머플러 인증비만 수천만원…사업하겠나"

    경기 이천시에 있는 A사는 연간 수십억원을 수질 관리에 쓴다. 4대강 주변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산업용 폐수라도 국민이 먹는 물보다 100배 깨끗이 유지해야 한다는 규정 때문이다. ‘수질법’과 ‘먹는 물 관리법’ 등에 따르면 먹는 물에는 구리를 비롯한 특정 물질이 L당 1㎎ 이하까지 허용되지만 4대강 유역 산업용 폐수에는 그 함유량이 L당 0.01㎎ 이하로 제한된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말 이런 과...

  • 경제 기타

    (50) '씨앗이 금보다 비싸다'는 토종식물 해설사

    경제학에서 재화를 구분하는 기준 중 하나로 경제재(economic goods)와 자유재(free goods)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경제재란 희소성으로 인해 얼마만큼 구매하고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등에 대한 합리적인 의사 결정이 필요한 재화, 다시 말해 경제학적 논의가 필요한 재화를 경제재라 부른다. 여기서 희소성이란 부족함을 뜻하는데, 단순히 특정 재화의 절대적인 양이 많고 적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가진 자원은 한정된 데 반...

  • 경제 기타

    통화안정 '평형수' 역할해야 할 중앙銀…정치권력 '과적' 위험

    2002년 11월밀턴 프리드먼의 90회 생일 기념 콘퍼런스에서 벤 버냉키는 “당신들(밀턴 프리드먼과 애나 슈워츠)이 옳았고 우리(중앙은행)가 잘못했다”고 고백했다. 당시 미국 중앙은행(Fed) 이사였던 그는 “다시는 그런 잘못을 반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언했다. Fed의 긴축적 통화정책이 되살릴 수도 있었던 경기침체 국면을 대공황의 늪으로 몰아넣었다는 주장에 고개를 끄덕인 것이었다. 2006년 F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