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 학습·진로 기타
-
진학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수시 특집 - 교육대
서울교대 경인교대 한국교원대 등 6곳 수시모집 대다수 면접고사 실시…서울교대는 논술고사도 치러 2009학년도 교육대 전형계획을 살펴보면 서울교대,경인교대 등 11개 교육대와 제주대 초등교육,한국교원대 초등교육,이화여대 초등교육에서 수시 및 정시 모집으로 5784명을 선발한다. 수시모집은 서울교대,경인교대,춘천교대,부산교대,진주교대와 한국교권대 등 6개 대학에서 학생을 뽑는데 대학,전형마다 지원 자격 및 수능최저학력 기준이 다르니 모집요강을...
-
학습 길잡이 기타
43. 주제별 영어 표현 - ⑥ 일상생활 관련 어휘들
방학은 vacation보다 (school)break가 더 세련된 표현 지난주까지는 정치와 관련된 다소 딱딱한 어휘와 표현들을 살펴보았다. 오늘은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배경 어휘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 방학과 휴가와 관련된 영어 표현 - vacation,holiday,break,leave 휴가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아마 vacation일 것이다. vacation과 같은 뜻으로 holiday도 있는데 미국은 주로 va...
-
학습 길잡이 기타
(다산칼럼) 거짓을 어찌 변명으로 덮나
추창근 <한국경제신문 논설실장> ☞ 한국경제신문 7월17일자 A38면 사람이 홀로 있을 땐 똑똑하고 이성적이지만, 군중에 휩쓸리면 분별력을 잃기 일쑤다. 그 집단최면의 결과는 비극이다. 중세(中世) 유럽의 마녀사냥 같은 수많은 실증적 사례를 들어 그런 터무니없는 일들이 어떻게 일어났는지를 설명한 것이 찰스 맥케이가 쓴 '대중의 미망과 광기'다. 이미 160여년 전에 쓰여진 이 고전은 사람들의 무지(無知)를 이용한 기만과 선...
-
학습 길잡이 기타
2008학년도 한양대 정시(인문 계열) 문제
※ 다음 [문항 1],[문항 2],[문항 3]에 대해 각각의 해당 답란에 답하시오. [문항 1] 지문 <가>와 <다>를 참조하여, 지문 <나>에서 주장하는 수도권 집중화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비판하시오. (400~500자, 25점) 가 산업혁명 이후 사람들은 시간이나 공간을 절약하거나 낭비하거나, 혹은 배분하는 개념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철도의 확장 및 전신·전화의 발명은 기존의 물리적 거리감을 축소...
-
학습 길잡이 기타
2008학년도 한양대 정시 논술(인문 계열) 해제
⊙ 한양대 논술의 특징 한양대는 지난주 살펴봤던 서강대와 비슷한 유형의 논술을 출제하고 있다. 문항별 독립지문형식으로 총 3개의 문제가 출제되며 문제별로 2~4개의 제시문이 배치된다. 사회과학과 인문학의 다양한 주제들을 활용해 인문 사회적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전형적인 '통합논술'을 지향하고 있다. 1,2번 문항은 지문을 읽고 문맥의 의미를 파악하는 서술 및 비판 중심의 문항들이고 3번 문항은 주로 창의력 사고력 논리력 분석력,그...
-
학습 길잡이 기타
몸 이름 바로알기 ①
우리 몸에서 '복숭아뼈'는 어디? 오는 25~26일 그곳에 가면 복숭아 축제를 볼 수 있다. 그곳은 1970년대 중반까지 나주 배,대구 사과와 함께 전국 3대 명물 과일의 산지로 손꼽혔다. 지금은 도시화로 인해 복숭아 과수원은 거의 사라졌지만 그 명성은 여전히 이어져 오고 있다. 그곳은 바로 부천이다. 부천의 옛 이름은 '소사'인데 그보다는 오히려 '복사골'이란 말로 더 유명하다. 복사골은 복숭아가 줄어진 '복사'와 마을을 뜻하는 '...
-
학습 길잡이 기타
54. 띄어쓰기 공략법:'지'와 '-ㄴ(ㄹ)지'
'시간 경과'와 '의문/추측'의 차이 신문을 비롯해 대부분의 인쇄물이 준한글전용으로 바뀌면서 특히 강조되는 것 중 하나가 띄어쓰기이다. 띄어쓰기는 규범으로서는 한글 맞춤법 57개 항 가운데 10개 항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큰 것이지만,왕왕 '사소한 것'으로 치부돼 무시되기 일쑤다. 띄어쓰기는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굉장히 방대하고 복잡한 분야이다. 그렇다고 띄어쓰기를 마냥 소홀히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글을 쓸 때 자주 나오는, 그러면...
-
학습 길잡이 기타
15. 노비제도를 통해 생각해 보는 진정한 정의는?<끝>
개인의 권리와 자유는 사회나 다수의 이익보다 앞선다 ⊙ 종모종부법(從母從父法)의 시행은 효율성의 극대화인가? 불평등의 심화인가? 고려시대부터 노비가 속한 천인의 결혼은 천인끼리만 인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 일반 백성과 천인과의 결혼은 허락되지 않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일반 백성과 천인의 결혼이 나타나게 되면서 자녀의 신분은 부모 중 한쪽만 천인이면 그 신분을 따르도록 정하였다. 이렇게 노비신분 해방의 길이 합법적으로 혹은 불법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