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18) 정보의 비대칭과 시장실패
중고차시장을 개살구시장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뭘까 경제학은 무수한 전제를 두고 경제이론을 전개한다. 인간의 의도가 개입되어 불확실성이 늘어나는 사회과학의 한계를 경제학은 다른 조건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뛰어넘는다. 라틴어로 '세테리스 파리부스(ceteris paribus;다른 조건이 같다면)'라는 조건의 고정은 경제학에서 굳이 언급을 하지 않아도 모든 경제 현상을 설명할 때 이미 전제되어 있다는 합의를 내포하고 있다. 우리가 시장 경제의 ...
-
경제 기타
새내기 생글기자들의 활동 포부
“주변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 기울이겠습니다”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안녕하세요? 제5기 생글 기자 성민우입니다. 고등학교에 갓 입학하여 모든 것이 낯설고,하루하루가 정신없이 흘러가던 때 생글생글을 처음 만났습니다. 처음에는 그저 평범한 타블로이드판 신문이라 생각하여 가볍게 읽어 넘겼는데,매주 새롭게 제공되는 커버스토리와 경제 뉴스 등을 통해 점점 흥미를 붙여,이제는 생글생글이 오는 날만을 기다리는 열혈 독자가 되었습니다. 사실 작년에 생글...
-
커버스토리
노동시장 유연성과 안정성의 관계는?
비정규직 보호법이라는 것이 있다. 2007년 7월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만들어진 법이다. 비정규직은 월급도 낮고 고용기간이 짧아 언제 해고될지 모르는 근로자를 말한다. 식당 아주머니에서부터 공장경비원 아저씨, 판매원 등 수도 없는 사람들이, 정년이 보장되는 정규직이 아니라 비정규직으로 일하고 있다. 당시 이 법은 기업이 비정규직 근로자를 2년 이상 계속 고용하게 되면 2년이 넘는 시점에서 의무적으로 정규직으로 바꾸어 주...
-
경제 기타
“동기부여 장학금 도입…성적 오르면 대출금 면제”
한국장학재단 저소득층 학생들 위한 제도 마련중 학자금 대출을 받은 뒤 성적이 크게 오른 저소득층 대학생들에게 대출금 상환을 면제해주는 '동기부여 장학금' 제도가 이르면 내년부터 실시될 전망이다. 또 학자금 대출을 받은 저소득층 대학생이 취업을 못해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할 경우 봉사활동을 하는 만큼 이자를 감면해주는 '봉사 마일리지'제도도 도입된다. 이경숙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은 지난 16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돈이 없어서 공부를 못...
-
경제 기타
교과부,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 선정 등
⊙ 교과부,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 선정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18일 서울대 등 15곳을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으로 선정했다. 선정된 대학은 소규모 특성화 대학 5곳(가톨릭대, 울산과기대, 카이스트, 포스텍, 한동대)과 대규모 종합대학 10곳(건국대, 고려대, 동국대, 서울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등이다. 이들 대학은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려는 의지가 크고 도입 여건이 우수한 대학들로 ...
-
경제 기타
광고주 불매운동이 소비자의 정당한 권리라고?
광고 선택권 압박하는 '언소주'의 反시장적 기업 공격 논란 회사원 나불매씨는 A신문의 논조가 영 마음에 안 든다. 자신은 현 정권을 지지하지 않는데,A신문은 현 정권을 비판하는 촛불시위에 대해 부정적인 기사를 주로 낸다. 평소 존경해온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해서도 A신문은 줄곧 비판적인 기사를 게재해왔다. 나씨는 이에 따라 A신문에 대한 불매운동을 벌이기로 마음먹었다. 그러나 독자들이 구독하는 신문을 쉽게 바꾸지 않아 불매운동...
-
커버스토리
현실과 동떨어진 비정규직법 대량해고 위기 '부메랑'
기업들 “정규직 의무전환 앞두고 고민 또 고민” '비정규직'문제는 2000년대 들어 노동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2006년 '비정규직 보호법'을 마련하는 등 정부와 정치권이 해결책 찾기에 나섰지만 오히려 문제를 더 키우는 꼴이 됐다. 당초 비정규직법은 비정규직을 보호하고 정규직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하지만 법 제정 이후 비정규직 대량 해고(계약해지)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법을 만든다...
-
커버스토리
고용 유연성 바탕위에 일자리 안정 이끌어내야
기업들 “경기 악화 된 상황서 기업생존도 큰 문제” 정규직·비정규직간 고용조건 불평등이 원인 사람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일자리가 안정되어야 하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한 직장에 속하기를 싫어하고 일감이 있는 대로 자신의 능력껏 일해 생활하려는 자유로운 상태를 좋아하는 사람도 물론 없지는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안정된 일자리와 안정된 수입을 원한다. 가정을 꾸린 사람은 물론이고 자기실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근로자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