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87> 현대적 기업 구조는 철도 때문에 완성됐다
시장경제가 발달하면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춘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지만 전문경영인, 주주들의 유한책임, 관료적 조직 등은 현대 기업을 구성하는 전형적인 요인들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대기업이 이와 같은 형태를 취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철도 때문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듯하다. 인류가 처음 철도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그 이전까지 대표적인 운송수단이었던 말의 가격이 급등하면서부터다. 18세기 말께 프랑스...
-
경제 기타
보잉-록히드마틴, 민항기 공룡 vs 전투기 강자…하늘을 제패한 영웅
<끝> 보잉-록히드마틴 1903년 12월17일 오전 10시35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의 키티호크 해안. 자전거 가게를 운영하던 오빌과 윌버 라이트 형제는 '하늘을 날고 싶은 인간의 욕망'을 현실로 만들었다. 이들이 만든 '라이트 플라이어호'는 첫 비행에서 12초 동안 36m를 나는 데 성공했다. 라이트 형제의 비행 성공 이후 항공기산업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수백명을 실은 제트 여객기가 5대양 6대주를 수없이 넘나들고 있다. 전투기...
-
경제 기타
"富의 원천은 정부 아닌 시장"…덩샤오핑에도 한 수 가르쳐
생글생글은 이번호부터 한국경제신문에서 연재중인 경제사상사 시리즈를 게재합니다. 이 시리즈의 필자인 민경국 강원대 교수는 시대를 꿰뚫어본 경제학자들의 삶과 사상을 조명하고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사례들을 통해 오늘날의 정치·경제적 현실과의 관련성을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 경제사상의 흐름을 다양하게 살피기 위해 자유주의·반자유주의 경제학자들의 삶을 함께 소개합니다. (1) 자유주의 '수호자' 하이에크 영국 경제주간지 <...
-
경제 기타
택시를 대중교통 수단으로 간주해야 할까요
찬 "여객수송 분담률 40%…사실상 대중교통" 반 "외국 어디서도 대중교통으로 인정 안해" 택시가 버스나 지하철처럼 대중교통 수단으로 인정될 것으로 보인다. 국회 국토해양위원회가 지난 15일 전체회의를 열고 택시를 대중교통으로 인정하는 '대중교통 육성 및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기 때문이다.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최종 통과할 경우 택시도 대중교통 기본계획에 포함돼 정부의 지원대상이 된다. 현재 택시업계는 정...
-
경제 기타
(고등학생) 입학사정관제가 도전받고 있어요!
입학사정관제가 도전받고 있어요! 입학사정관제 무용론과 함께 폐지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대학 입학사정관제를 악용한 부정입학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올해 초 입학사정관제 부작용을 차단하기 위한 대책을 내놨지만 비리는 끊이지 않고 있다. 입학사정관제가 시행되기 전까지, 대학들은 학생부·수능시험·대학별고사 등 성적 위주로 학생을 선발해 왔다. 그러다 보니 초·중등학교에서는 지나친 점수 경쟁을 초래했고, 대학 입...
-
경제 기타
(중학생) 마구 낭비되는 아까운 세금 등
마구 낭비되는 아까운 세금 모든 국민은 세금을 낸다. 세금은 국가를 유지하고 경제의 발전을 위해 의무적으로 내는 돈이다. 그런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자신들이 원하거나 쓸데없고 필요없는 곳에 돈을 쓰는 것 같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잠수함인 손원일함을 외국에 주문해 만들었다. 부품과 제품, 기술이 모두 외국의 것이었다. 작년 4월 손원일함에서 운행이 불가능할 정도의 소음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수함을 해체해 조사했으나 원인을 찾지 못...
-
경제 기타
경제 민주화가 '성장' 해치는 까닭 등
[다산칼럼] 경제 민주화가 '성장' 해치는 까닭 - 한국경제신문 11월16일자 A38면 이집트 피라미드, 중국 만리장성은 탄성을 자아내게 한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지식과 다재다능함은 경이롭다. 인류에게 토지 노동 자본 등 물적 자본과 인적 자본은 오래 전부터 풍부하게 존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경제성장은 최근의 일일까? 1500년부터 현재까지 세계 총생산은 150배 이상 늘었고, 인구는 15배 증가했다. 1인당 소득이 10배 이상 ...
-
경제 기타
경제 자유도 높아야 잘사는 나라 되죠!
경제자유도와 삶의 질 포브스가 선정한 ' 기업하기 좋은 나라 '에 한국이 29위로 이름을 올렸다. 포브스는 2011년 세계 141개국의 경제지표와 작년 10월15일부터 12개월간 각국 증시 등 11개 지표를 분석해 집계한 '기업하기 좋은 나라' 순위를 14일 공개했다. 우리나라는 29위로 이스라엘(27위) 모리셔스(28위)의 뒤를 이었다. -11월15일 연합뉴스 ☞지구상에 존재하는 나라는 모두 230개국이 넘는다. 이 가운데는 잘사는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