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중국, 성장 둔화에 '출산 장려'로 인구정책 전환

    중국 공산당 제18기 중앙위원회 5차 전체회의(5중전회)가 29일 폐막했다. 이번 5중전회에서는 중국 경제의 앞으로 5년(2016~2020년)간 로드맵 격인 ‘제13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이 논의되었다. 중국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한 뒤 1953년부터 5개년 경제개발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 중국이 세계 주요 경제권으로 부상한 이후 5개년 계획은 늘 세계 각국의 주목을 받아왔다. 5중전회와 관련해 가장 관심을 ...

  • 경제 기타

    경영 옥죄는 규제 얼마나 많길래…중견기업으로 커가길 꺼리는 중소기업 등

    경영 옥죄는 규제 얼마나 많길래…중견기업으로 커가길 꺼리는 중소기업 ◆중소기업과 ‘피터팬 신드롬’ “기업인들이 제발 한국에서 계속 사업할 수 있게 도와달라.”(강호갑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 3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새누리당 중소기업·소상공인 특별위원회의 ‘중견기업 간담회’에서는 차별 폐지와 지원을 요청하는 기업인들의 호소가 쏟아졌다. 이날 간담회는...

  • 경제 기타

    "세금 낭비하면 기업인 자격없어"…관급공사마다 비용 절감

    지난달 16일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1도크. 거대한 ‘골리앗 크레인’에 오르니 조선소 대형 블록공장 외벽에 써 있는 커다란 문구가 한눈에 들어왔다. ‘우리가 잘되는 것이 나라가 잘되는 것이며 나라가 잘되는 것이 우리가 잘될 수 있는 길이다’. 글자판 하나의 크기가 가로·세로 2m를 넘는 36자(字) 문구엔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호 아산·峨山)의 기업관이 온전히 담겨...

  • 경제 기타

    석기시대 환경에 적응된 경제 태도

    사람의 두뇌에는 경제를 인지하고 다루는 다양한 성향(이론)이 각인돼 있다. 이 중에는 보기 듣기 말하기 능력처럼 본능적으로 갖고 태어나 별도의 학습 없이도 습득한 선호와 믿음이 있다. 예를 들어 생산보다 나눔을, 자유보다 평등을 먼저 생각하는 태도와 경쟁에 대한 혐오, 부자에 대한 의심과 질시 등이 경제에 대한 본능적 지식에 기초한 성향이다. 이런 선천적인 경제지식을 ‘민속경제학’이라고 한다. 경제학을 배우지 않은 대중이 ...

  • 경제 기타

    학제단축 바람직할까요

    새누리당과 정부가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학제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청년층의 사회 진출이 늦어지고 결혼도 늦어지는 것이 저출산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보고 현재 6-3-3-4로 돼 있는 정규교육 과정의 학제를 1~2년 단축하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만 3~5세 누리과정 중 만 5세 과정을 프리스쿨 개념으로 공교육화해 현 6년제인 초등학교 과정을 5년으로 단축하는 방안이 제기되고 있다. 또 청년층이 1년이라도 먼저 사회에 진출할 수 있도...

  • 경제 기타

    음식물 살균·항공기 엔진 결함·화석연대 측정…방사선을 쪼이면 다 나와…과학이 일으킨 혁신

    방사선이 생활과 산업에도 쓰인다고 말하면 놀라는 학생이 많다. 방사선의 ‘방’자만 나와도 무섭다는 투다. 방사선을 살인광선으로 오해하거나 잘못 알고 있어서다. 방사선은 전구에서 나오는 환한 빛과 같은 에너지를 지닌 보이지 않는 광선이다. 학생들 중 십중팔구는 방사선이 원자력 발전소에서만 나오는 것으로 안다. 아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땅, 우주, 자연, 먹거리와 인체에서도 미량의 방사선이 나온다. 이것을 자연방사선이라고 한...

  • 경제 기타

    커피의 등급을 결정하는 커피감별사, 큐그레이더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에서 처음 발견돼 이슬람 문화권을 통해 전 세계에 퍼진 커피가 우리나라에 유입된 것은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였다. 중국 청나라를 통해 조선에 들어온 커피는 당시 왕실을 비롯한 상류층 사이에서 빠르게 퍼져 나갔다. 특히 고종 황제가 커피애호가로 알려져 있는데, 그는 덕수궁에 정관헌(靜觀軒)이라는 회랑을 짓고 커피와 다과를 곁들인 연회를 즐긴 것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당시 커피는 지배계급만의 전유물에 불과했을 뿐, 지금과 같이 ...

  • 경제 기타

    한·중 청소년 국제교류가 남긴 것 등

    한·중 청소년 국제교류가 남긴 것 글로벌 시대에 맞춰 여성가족부가 주관하는 다양한 국제교류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중 한·중 청소년 교류는 양국 청소년 간의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4년부터 실시되고 있는 교류 활동의 하나이다. 이번 인터뷰를 진행한 2014년 1차 파견단은 6월4일부터 10일까지 칭다오, 웨이팡, 베이징 등 세 곳을 방문하였다. 우수파견조로 선정되어 여성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