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학제개편,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생글생글 기자들이 최근 등장한 ‘학제개편’을 두고 열띤 찬반토론을 벌였다. 학제개편은 초등학교 입학허용 나이를 만 5세로 낮추고, 현재의 초·중·고·대학 교육기간을 ‘6년-3년-3년-4년’에서 ‘5-3-3-4’나 ‘6-5(중·고 통합)-4’로 바꾸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학제개편은 논의 단계다. 최재영 대학생 생...

  • 경제 기타

    용화여고와 신일고가 함께 한 주말 '연합토론'…'원조가 후진국에 도움이 되는가'…찬반 '후끈'

    지난달 28일 토요일. 한적한 주말에 서울 신일고 논리교실에서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서울 용화여고의 경제동아리 (Y.E.S)와 신일고 동아리가 함께 마련한 토론장이었다. 신일고 동아리 회장 박찬호 군(18)과 부회장 강승헌 군(18), 용화여고 동아리 회장 서민지 양(18)과 부회장 표수민 양(18)이 주도해 토론회 주제와 일정을 정했다. 토론회는 2015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앵거스 디턴 교수의 책 ‘위대한 탈출’...

  • 경제 기타

    제16회 한경 고교 경제 리더스캠프…"연세대 국제캠퍼스에 입학한 신입생 되어 볼래요"

    ‘제 16회 한경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가 2박 3일의 일정으로 12월25일(금)부터 27일(일)까지 인천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 에서 열린다. 연세대 국제캠퍼스는 신촌 캠퍼스에서 확장한 복수의 캠퍼스로 연세대에 입학하는 신입생 1학년은 국제캠퍼스에서 전원이 기숙생활을 하게 된다. 학생들은 최첨단 시설을 갖춘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경제 경영학 특강은 물론 입시 전략 공부법 등 다양한 강의를 들을 수 있다. 이번 캠프...

  • 경제 기타

    '무점포 은행' 카카오은행·K뱅크 등장…금융산업 판이 바뀐다

    정보통신업계의 '거물' 카카오와 KT가 은행시장에 진출한다. 카카오은행과 K뱅크가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위한 예비인가를 받았다. 1992년 평화은행 이후 23년 만의 신규 은행 인가로, 내년 6월 이전에는 점포 없이 영업하는 인터넷 은행 시대가 국내에서도 본격 열릴 예정이다. 인터넷 은행 시대가 도래하면 소비자들은 은행 지점에 가지 않고 온라인으로 예금이나 대출 등 모든 은행 업무를 볼 수 있게 된다. 기존 은행 고객들은 계좌 계...

  • 경제 기타

    카카오·K뱅크 "편의성·고금리로 수시입출예금 쓸어 담겠다"

    오전 7시. 카카오뱅크가 스마트폰으로 전송한 카카오톡 알림소리에 잠을 깬다. 스마트폰 화면엔 어제 지출 내역과 계좌 잔액, 오늘 납기 만기인 공과금 내역이 떠 있다. 어제 주문한 상품이 오후 7시 우체국택배로 배달될 예정이라는 것도 표시돼 있다. 퇴근 후엔 요즘 유망한 투자 상품을 추천해달라고 카카오톡을 날렸다. 카카오뱅크는 곧바로 상품 추천 목록을 보내왔다. 카카오뱅크 계좌를 개설한 직장인 A씨의 내년 하반기 이후 금융생활을 카카오뱅크가 발표...

  • 숫자로 읽는 세상

    한-베트남, 한-뉴질랜드 FTA 비준 동의안도 국회 통과

    국회는 30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동의안과 함께 한·베트남 FTA, 한·뉴질랜드 FTA 비준 동의안, 한·터키 투자·서비스협정 동의안도 통과시켰다. 한국의 수출 대상국 4위에 올라 있는 베트남과의 FTA가 발효되면 자동차, 화장품, 생활가전 등 공산품 수출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FTA가 발효되면 한국은 수입액 기준 94.7%, 베트남은 92.4%의 관세가 ...

  • 경제 기타

    한·중 FTA 비준…수출관세 없애고 중국시장 문턱 낮췄다

    한국과 중국의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동의안이 3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지난 6월1일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협정서에 정식 서명한 지 6개월 만이다. 한국의 최대 수출국이자 수입국인 중국과의 FTA가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우리 기업들이 대(對)중 수출을 확대하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한 비중은 26%로 미국(11%)과 일본(6%)을 합친 것보다 크다. 한&mi...

  • 경제 기타

    중국의 금융굴기, 달러 패권에 도전

    ◆위안화, SDR 통화바스켓에 편입되다 중국 위안화가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 구성 통화로 편입됐다. 글로벌 기축통화 자리를 놓고 미국의 그린백(greenback·달러화)과 중국의 레드백(redback·위안화) 간 패권 경쟁이 본격화할 것이란 관측이다. IMF는 지난달 30일 미국 워싱턴DC 본부에서 집행이사회를 열어 위안화를 SDR 구성 통화로 편입하기로 결정했다. 편입 시점은 내년 10월1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