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글쓰기

지정 과목 폐지 확산에도
대학마다 가산점 차등
실질 합격선은 자연계 중심 전망
2026학년도 정시 모집에서 전국 39개 의대 가운데 15곳(38.5%)이 사회탐구 응시자의 지원을 허용한 것으로 19일 조사됐다. 지난 19일 진학사에 따르면 사탐 응시자가 지원할 수 있는 의대는 지난해 11곳에서 올해 4곳 더 늘었다. 올해는 가톨릭대, 경북대, 부산대가 수학영역과 탐구영역에서 지정 과목을 모두 폐지했다. 고려대도 탐구영역에만 적용하던 선택과목 지정을 없앴다.

사탐 응시자의 지원 가능 의대는 늘었지만, 상당수 대학이 수학에서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수험생과 과탐 응시자에게 3~5%, 많게는 10%의 가산점을 주고 있어 사탐 응시자의 실제 합격 증가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순천향대 의대는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수험생에게 취득 백분위의 10%를, 과탐 응시자에게는 과목별 취득 백분위의 10%를 가산한다. 경희대 역시 과탐 응시자의 탐구영역 백분위 변환표준점수에 과목당 4점을 더한다.

최상위권은 학생들 간 점수 차가 미세한 만큼 가산점이 당락을 좌우하는 핵심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실질 합격선은 미적분 또는 기하와 과탐을 응시한 자연계열 수험생을 중심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사탐 허용으로 의·치·약대 교차지원 폭은 넓어졌지만 당락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는 여전히 수학과 탐구 반영 방식”이라며 “대다수 대학이 미적분과 기하 또는 과탐에 가산점을 주는 만큼 인문계 과목 응시자는 대학별 수능 반영 방법을 반드시 세밀하게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미경 한국경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