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탐
-
숫자로 읽는 세상
사탐으로 의대 가자?…실제 합격은 다를 수 있어
2026학년도 정시 모집에서 전국 39개 의대 가운데 15곳(38.5%)이 사회탐구 응시자의 지원을 허용한 것으로 19일 조사됐다. 지난 19일 진학사에 따르면 사탐 응시자가 지원할 수 있는 의대는 지난해 11곳에서 올해 4곳 더 늘었다. 올해는 가톨릭대, 경북대, 부산대가 수학영역과 탐구영역에서 지정 과목을 모두 폐지했다. 고려대도 탐구영역에만 적용하던 선택과목 지정을 없앴다.사탐 응시자의 지원 가능 의대는 늘었지만, 상당수 대학이 수학에서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수험생과 과탐 응시자에게 3~5%, 많게는 10%의 가산점을 주고 있어 사탐 응시자의 실제 합격 증가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는 분석도 나온다.순천향대 의대는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수험생에게 취득 백분위의 10%를, 과탐 응시자에게는 과목별 취득 백분위의 10%를 가산한다. 경희대 역시 과탐 응시자의 탐구영역 백분위 변환표준점수에 과목당 4점을 더한다.최상위권은 학생들 간 점수 차가 미세한 만큼 가산점이 당락을 좌우하는 핵심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실질 합격선은 미적분 또는 기하와 과탐을 응시한 자연계열 수험생을 중심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사탐 허용으로 의·치·약대 교차지원 폭은 넓어졌지만 당락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는 여전히 수학과 탐구 반영 방식”이라며 “대다수 대학이 미적분과 기하 또는 과탐에 가산점을 주는 만큼 인문계 과목 응시자는 대학별 수능 반영 방법을 반드시 세밀하게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이미경 한국경제신문 기자
-
대입전략
6월 모평 사탐 응시 14% 증가…과탐은 7% 감소…과목별 결시율·응시자 수 변화, 수능에 큰 '변수'
2025학년도 수시 선발에서 서울권 소재 대학은 수능 최저를 요구하지 않는 전형으로 3만579명을 뽑는다. 이는 수시 전체 선발 인원(4만7978명)의 63.7%다. 경인권에서도 수능 최저 없는 전형이 80.7%이고, 지방권에서는 77.1%다. 전국 평균으로는 수능 최저가 없는 전형이 75.3%, 최저가 있는 전형이 24.7%다.대학별로 살펴보면 서울대는 수능 전체 선발 인원의 76.3%를 수능 최저가 없는 전형으로 뽑고 연세대 35.9%, 고려대 28.0%다. 이 외 성균관대 66.6%, 서강대 65.9%, 한양대 69.2%, 중앙대 60.0%, 경희대 63.7%가 수시에서 수능 최저가 없다.2024학년도 수능에서 과목별 결시율은 국어에서 화법과 작문 13.6%, 언어와 매체 8.6%다. 화법과 작문 결시율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 결시 인원상으로 볼 때 화법과 작문이 본수능 때 점수 변화가 크게 나타날 수 있을 정도의 규모다.수학은 확률과 통계가 14.0%, 기하 12.4%, 미적분이 7.5%다. 확률과 통계 결시율이 매우 높고, 점수 변화도 크게 발생할 수 있다. 국어와 수학에서는 전반적으로 문과 학생이 많이 선택하는 과목에서 결시율이 크게 나타나고 있고, 본수능 때 문과 학생들이 이과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기존 모의고사 때보다 점수 변화가 크게 발생할 수 있는 구도다.탐구에서는 사탐 9개 과목 평균 결시율이 14.9%, 과탐 8개 과목 평균 결시율은 8.6%로 탐구 과목 또한 문과 학생들의 점수 변화가 본수능 때 이과보다는 크게 나타날 수 있다.사회탐구에서 경제 과목은 2024학년도 수능에서 결시율이 21.9%, 윤리와 사상은 16.4%, 세계사 16.4%로 높게 나타났고, 수험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과목인 생활과 윤리도 14.7%, 사회문화도 13.7%로 매우 높다. 모의고사 성적과 본수능 성적 차가 상당히 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