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셧다운(Shutdown)
어닝 서프라이즈(Earnings Surprise)
기업이 발표한 실적이 시장의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경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이 제시하는 컨센서스(평균 예상치)보다 실제 실적이 높게 나올 때 사용된다. 반대로 실제 실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어닝 쇼크(Earnings Shock)’라고 부른다. 기업의 실적 발표는 주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데, 예상보다 좋은 실적이 나오면 투자심리가 개선되면서 주가가 강세를 띠곤 한다.
님트(Not In My Term, NIMT)
‘내 임기 중에 인기 없는 일은 하지 않겠다’라는 의미로,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수장이 자신의 임기 중에 환경오염 시설물 설치, 각종 경제 개혁,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건설 등 국민이나 지역 주민에게 인기 없는 일을 하지 않으려는 현상이다.
피터팬 증후군(Peter Pan Syndrome)
몸은 어른이지만 마음은 어린이에 머물러 사회적 책임을 회피하는 성인의 심리를 의미한다. 이 개념은 중소기업이 중견기업, 중견기업이 대기업으로 성장하기를 주저하는 현상을 설명할 때도 사용한다. 기업의 규모가 커지는 순간 그동안 받던 세금 감면·보조금 등 지원이 사라지고 오히려 규제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 CPTPP)
기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서 2017년 미국이 탈퇴하자 일본·호주·캐나다 등 11개 아시아·태평양 국가가 2018년 출범한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이다. 최근 정부가 미·중 패권 경쟁이 심화하자 제3의 경제동맹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CPTPP 가입 재추진에 나섰다.
에브리싱 랠리(Everything Rally)
주식, 금, 부동산, 가상 자산,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 가격이 동시에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여러 자산시장이 동반 강세를 보이는 상황이다.
달러 인덱스(U.S. Dollar Index)
유로, 일본 엔, 영국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 등 경제 규모가 크거나 통화 가치가 안정적인 6개 주요국 통화를 기준으로 산정한 미국 달러화 가치를 지수화한 것이다. 달러 인덱스가 상승하면 미국 달러화 가치가 다른 주요국 통화보다 강해졌다는 의미이다. 반대로 하락하면 달러 가치가 약세임을 뜻한다.
정영동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원
![[테샛 공부합시다] 경쟁할 수 있는 시장환경 조성하면 독점 문제 해결](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561.3.jpg)
![[테샛 공부합시다] 경제 규모 커져도 화폐 단위 개편은 신중해야](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395.3.jpg)
![[테샛 공부합시다] '가격탄력성' '웩시트' 문항 정답률 낮아](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817.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