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글쓰기
4대 과기원 수시지원 5년새 최대
의치한약은 작년보다 22% 줄어
2026학년도 대입 수시모집에서 자연계 상위권 수험생의 ‘의대 쏠림’ 현상이 주춤하고 대신 이공계 선호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4대 과기원 수시지원 5년새 최대
의치한약은 작년보다 22% 줄어
26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한국·울산·광주·대구경북 등 4대 과학기술원의 2026학년도 수시모집 지원자는 2만4423명으로 전년보다 16.1%(3394명) 증가했다. 지난 5년간 지원자 가운데 가장 많다. 연도별 지원자는 2022학년도 1만3315명, 2023학년도 1만5443명, 2024학년도 1만8630명, 2025학년도 2만1029명 등이다.
학교별로는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 전년 대비 23.4%(1172명) 늘어나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어 UNIST(울산과학기술원) 20.6%(1354명), GIST(광주과학기술원) 12.8%(377명), KAIST 7.6%(491명) 순이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LG유플러스 등 주요 기업과 연계한 대기업 계약학과(연세대·고려대 등 9개 대학)의 수시 지원자는 8892명으로, 전년(8631명) 대비 3% 증가했다. 반면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수의대 등 의약학계열 수시모집 지원자는 11만2364명으로, 전년(14만3935명)보다 21.9% 감소했다. 최근 5년 새 가장 적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정부의 이공계 육성 정책과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부상에 수험생들이 상당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이미경 한국경제신문 기자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외환위기 때보다 높아졌다…고착화된 고환율](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447932.3.jpg)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최대 30배 과징금…공연, 스포츠 암표상 잡는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5929.3.jpg)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금융위기 일으킨 '변동금리 주담대' 미국서 다시 확산](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08832.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