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와 휴대폰이 일상의 필수품이 된 디지털 시대에는 ‘내 손안의 사전’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종이사전에 담겨 있는 언어와 문화의 변천, 역사성을 찾아볼 기회는 사라져 가는 것 같아 안타깝다.
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1908년 8월 31일, 서울 돈의문 밖 봉원사에 사람들이 삼삼오오 모여들었다. 주시경 선생이 운영하는 국어 강습소 졸업생을 비롯해 우리말 연구에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기울어가는 국운을 한탄하며 겨레의 말과 글을 지키고 살려야 할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 자리에서 ‘국어연구학회’가 탄생했다.“낱말 하나하나에 겨레의 얼 담아”훗날 조선어학회(1931년)로, 다시 한글학회(1949년)로 이름을 바꿔 오늘에 이르렀으니 올해로 117돌을 맞았다. 이것만으로도 국내 최고(最古)의 학술 단체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한글학회의 연원은 좀 더 거슬러 올라간다. 문헌상으로 나타나는 한글학회 전신의 최초 모임은 아마도 ‘국문동식회’가 아닐까 싶다. 국문동식회는 1896년 4월 7일 독립신문이 창간한 후 5월 독립신문사 내에 주시경이 만든 철자법 연구 모임이다. 선생은 서재필 박사가 창간한 독립신문에 초기부터 참여해 언문조필로 활동하면서 한글 쓰기의 토대를 놓았다. 한글 표기법의 표준화 작업이 태동하던 시절이었다.

선생은 1911년 최남선이 주도한 조선광문회에서 우리말 사전 편찬에 착수했다. ‘말모이’(말을 모은 것)라는 순우리말 이름의 사전을 만들기 시작했다. 김슬옹 세종국어문화원장의 강연록 ‘낱말 하나하나에 담은 겨레의 얼’에 따르면, 이는 민족 스스로 자기 말의 사전을 만들려 한 역사상 최초의 시도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훗날 한글학회가 펴낸 <조선말 큰사전>의 밑거름이 됐다.

일제강점기 국어의 수난사는 곧 우리 민족이 겪어낸 질곡의 역사였다. 그중에서도 1942년 터진 ‘조선어학회 사건’은 우리말을 절체절명의 위기로 몰아갔다. 이때 이윤재, 최현배, 이희승, 정인승, 장지영, 안재홍, 이은상 선생 등 당대 우국지사가 대거 투옥됐다. 특히 이 사건으로 당시 16만여 어휘를 모아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르던 <조선말 큰사전> 편찬 작업이 중단된 것도 큰 시련이었다. 그 와중에 사전 원고마저 잃어버려 거의 포기 직전까지 갔다. 조선어학회 사건의 증거물로 일본 경찰에 압수되었다가 행방불명이 된 것이다. 천신만고 끝에 해방 직후인 1945년 9월 8일 서울역 화물 창고에서 원고 뭉치를 찾아 1947년 제1권에 이어 1957년까지 순차적으로 제6권을 펴냈다.‘마음의 양식’ 기르던 종이 사전의 추억한글학회에서 혼신의 힘을 다해 완간한 <조선말 큰사전>은 훗날 국립국어원이 간행한 <표준국어대사전>(1999년)의 밑거름이 됐다. 이 사전은 정부가 나서서 1992년부터 8년여에 걸쳐 120억 원가량을 투입한 대사업이었다. 상·중·하 세 권에 7000쪽이 넘고 올림말 역시 표준어를 비롯해 북한어, 사투리, 옛말 등 50만 단어 이상을 수록한 방대한 책이다.

하지만 100여 년에 이르는 국내 종이사전의 역사는 곧이어 조종을 울릴 수밖에 없었다. “국립국어원에서 1999년에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의 개정판을 인터넷 사전(웹 사전)으로만 편찬할 예정입니다.” 2006년 10월 9일 한글날을 기해 국립국어원은 향후 나올 표준국어대사전 개정판을 온라인으로만 발간하겠다고 밝혔다. 제작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 사전이나 전자사전이 전통의 종이사전을 상당 부분 대체했기 때문이다.

홍성호 이투데이 여론독자부장·前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홍성호 이투데이 여론독자부장·前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컴퓨터와 휴대폰이 일상의 필수품이 된 디지털 시대에는 ‘내 손안의 사전’이 가능해졌다. 언제 어디서든 가깝고 편리하게 사전을 찾아볼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종이사전에 담겨 있는 언어와 문화의 변천, 역사성을 찾아볼 기회는 사라져가는 것 같아 안타깝다. 과거에는 책장을 넘기고 밑줄 그어가며 단어를 찾아보던, 그리고 때론 외우려고 씹어 먹기까지 하던 종이사전이었다. ‘마음의 양식’을 기르는 지식과 문화의 보고였다. 이제 그런 ‘사고(思考)의 터전’은 검색어를 넣으면 바로 알려주는 웹 사전으로 역할이 넘어갔다. 그래도 국어사전은 여전히 우리말뿐 아니라 사회 변천상까지 담고 있는 우리 곁의 보물 창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