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의 형태를 명사구(‘명사+명사’)의 형식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게 관형격 조사 ‘-의’이다. 이 말은 앞말을 관형어로 만들어, 뒤에 오는 명사를 이어줘 문법적 관계를 완성시킨다.

① “환경부로 에너지 정책 이관은”, ② “환경부로 ‘물관리 일원화’ 이후”, ③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도”, 이 세 곳에는 공통적 오류가 있다. 모두 관형격 조사 ‘의’를 생략해 비문이 됐다는 점이다. ① ‘환경부로~’ 뒤에는 서술어가 와야 한다는 것을 놓치면 안 된다. 부사어 뒤에 서술성 있는 동사나 형용사가 오는 게 당연하다. 그게 우리 문법이다. 근데 “환경부로~ 이관은”으로 연결됐다. 부사어를 받는 말로 용언이 아니라 명사가 옴으로써 서술성을 잃고 문장 흐름이 어색해졌다. 이 오류는 너무나 흔해 자칫 오류인 줄도 모르고 넘어가는 이도 많다. “환경부로 에너지 정책을 이관하는 것은” 식으로 동사(‘이관하는’)를 살려야 한다. 그래야 온전한 문장이 돼 전체 문장의 주어절 역할을 맡는다.
이것을 명사구로도 표현할 수 있다. 내용상 ‘환경부’ ‘에너지 정책’ ‘이관’이란 3개의 정보로 이뤄져 있다. 이를 가장 간결하게 연결하는 방식은 관형격 조사 ‘의’를 이용해 명사구로 만드는 것이다. ‘환경부로의 에너지 정책 이관’이 그것이다. 이때 ‘-로’는 움직임의 방향을 나타내는 격조사다. 그러니 이 말은 생략할 수 없는 필수 요소다. 이에 의해 ‘환경부로’는 부사어가 돼 ‘환경부로 어찌하다(동사)’ 형식의 문구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어찌하다’ 자리에 동사가 아닌, 명사가 오면 비문이 되는 것이다.
절의 형태를 명사구(‘명사+명사’)의 형식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게 관형격 조사 ‘-의’다. 이 말은 앞말을 관형어로 만들어, 뒤에 오는 명사를 이어줘 문법적 관계를 완성시킨다. 즉 “환경부로의 에너지 정책 이관은”이 온전한 표현의 명사구로서 주어부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처소격 ‘-로’와 관형격 조사 ‘-의’는 각각 필수 요소로 생략할 수 없다. 부사어 뒤엔 동사·형용사 이어져야나머지 ②와 ③의 사례도 같은 오류의 비문이다. ②는 “환경부로의 ‘물관리 일원화’ 이후” 또는 “환경부로 ‘물관리 일원화’를 한 이후” 또는 “환경부로 물관리를 일원화한 이후”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정상문을 만들 수 있다. ③ 역시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도” 또는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는 것도” 등으로 써야 바른 문장이 된다. 요령은 관형격 조사 ‘의’를 써서 명사구로 만들거나, 부사어를 받는 동사를 살려 절의 형태를 갖추거나 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