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변동과 통화정책
변동환율제도에서 확대통화정책을 실시하면 일단 폐쇄경제와 동일하게 총수요가 증가해 GDP와 물가가 상승한다. 그런데 통화량이 증가하면 민간 금융시장에 공급되는 자금이 늘어나 이자율이 하락한다. 이로 인해 국내에 들어와 있는 해외자본이 빠져나가면서 외환시장에 달러의 공급이 감소해 환율이 상승한다. 환율이 상승하면 순수출이 증가해 총수요가 늘고 수입 원자재 가격은 상승하므로 총공급은 감소하게 된다. 이 같은 상황을 그래프로 설명하면 왼쪽의 그림과 같다. 균형점이 E0→E1→E2로 움직이게 된다. 그래프에서도 볼 수 있듯, 변동환율제도에서도 확대통화정책이 GDP와 물가를 상승시키고 있다. 하지만 그 정도는 폐쇄경제에 비해 크다. 물론 환율상승으로 총공급의 감소가 크면 클수록 통화정책의 효과가 폐쇄경제에 비해 줄어들 수도 있다. 그러나 환율 변동으로 발생하는 총수요와 총공급의 변화 정도는 총수요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것이 현실 경제에서 나타나는 모습이라고 이미 설명했다. 따라서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한 개방경제에서 확대통화정책의 효과는 예상보다 크게 나타나 경기침체를 극복하고 경제를 안정시키는 기능이 폐쇄경제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동일한 상황에서 정책효과가 작게 나타나는 확대재정정책의 효과와는 반대다. 자금이동 정도와 확대통화정책변동환율제도를 시행한다고 해도 자금이동에 제약이 많다면 확대통화정책을 통해 이자율이 하락하더라도 국내에 들어온 해외자금의 국외 유출이 적다. 환율이 상승하는 정도가 크지 않아 환율상승으로 인한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확대통화정책의 효과는 폐쇄경제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난다. 극단적으로 변동환율제도지만 국가 간 자금이동이 완전히 통제받아 이자율이 변해도 이동이 안 되는 상황이라면 환율은 변하지 않아 개방경제라 하더라도 확대통화정책의 효과는 폐쇄경제와 완전히 동일하게 나타난다. √ 기억해주세요
![[경제야 놀자] '좋은 투자' vs '나쁜 투기' 구분할 수 있을까](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58.3.jpg)
![[수능에 나오는 경제·금융] 새 제품·서비스의 등장이 시장지형 바꾸죠](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90.3.jpg)
![[경제학 원론 산책] 금융시장은 자금의 효율적 사용, 위험 분산에 기여](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89.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