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환율 오르면 가격경쟁력 향상, 판매수입 증가

    앞서 수출과 수입을 중심으로 경상거래가 환율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했다. 변동환율제도에서 수출이 증가하면 국내로 유입되는 달러가 늘어 환율이 하락하고, 수입이 증가하면 해외 상품을 구입하기 위한 달러의 수요가 커져 환율이 상승한다는 점을 배웠다. 이번에는 반대로 환율의 변동이 수출과 수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겠다. 좀 더 정확히 구분하면 앞서 수출과 수입이 원인이 되어 환율 변동이라는 결과를 만드는 것에 대해 알았다면, 이번 주부터는 환율 변동이 원인이고 수출과 수입의 변동이 결과가 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원인과 결과만 바뀐 상황이지만 결과는 완전히 다르게 나타나므로 수출과 수입이 원인이 되는 상황과 환율 변동을 원인으로 하는 상황을 잘 구분해서 살펴봐야 할 것이다. 환율상승과 상품 수출환율이 상승하면 수출기업의 판매 수입은 증가한다. 수출하고 외국에서 달러로 받는 돈은 같지만, 원화 가치는 하락했기 때문에 국내에서 원화로 환전할 때의 판매 수입은 그만큼 증가하는 것이다. 또한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품의 가격이 하락해 수출이 늘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율이 1000원에서 2000원으로 오르면 만 원짜리 국내 제품의 달러 표시 가격은 10달러에서 5달러로 낮아져 가격경쟁력이 높아지고, 수출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환율상승은 수출량을 증가시키는 기회가 된다. 환율상승과 원자재 수입그런데 환율이 올라 수입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기업의 생산비용이 증가하므로 상품의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예컨대 원유의 국제가격이 1배럴에 100달러인데 환율이 1000원에서 2000원으로 상승한다면 기업들은 원유 1배럴을 수입하기

  • 테샛 공부합시다

    세원고 이승현 학생 고교 1위, 단국대 강지선 씨 대학 1위

    테샛관리위원회는 최근 성적 평가회의를 열고 제65회 테샛 부문별 성적 우수자를 확정해 홈페이지에 발표했다. 응시자는 개인별 자격 등급과 성적표를 테샛 홈페이지에서 출력할 수 있다. 고교 챔피언은 세원고 3학년 이승현 학생이번 65회 테샛 고교 부문에서는 세원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이승현 학생이 최우수상을 받았다. 우수상은 서세민 학생이 수상했다. 2등급을 받은 학생에게 주어지는 장려상은 이수찬 학생 외 5명에게 돌아갔다.대학생 부문 개인 대상은 단국대 4학년에 재학 중인 강지선 씨가 수상했다. 2등 최우수상은 우동수 씨, 3등인 우수상은 강현우(중앙대 4년) 김민제(서울시립대 4년) 김민규(한국외국어대 3년) 임재건 윤동희(명지대 4년) 이지현(동국대 4년) 씨 등 총 6명이 받았다. 장려상은 박태준(경기대 4년) 김권중 이승준(고려대 1년) 한석희(동국대 4년) 박준형(서울대 2년) 박세준(동국대 2년) 임종현(홍익대 4년) 전연정(서울대 3년) 씨 등 총 8명이 차지했다. 일반인 부문에서는 박성수 씨가 최우수상, 김병찬 김동식 씨가 우수상을 받았다. 박성수 씨는 65회 테샛 전체 수석을 했다.자세한 수상자 명단은 테샛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별도의 시상식은 열리지 않으며 개인별 상장은 홈페이지에서 출력할 수 있다. 경제이론 영역 평균 점수, 다른 영역에 비해 낮아65회 테샛에서는 경제이론 영역의 난도가 다른 영역에 비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이론에서는 디플레이션에 관한 문항의 정답률이 30%대로 낮았다. A국의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을 소개하고, 디플레이션에 관한 설명 중 적절한 것을 고르는 문제였다. 정답은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