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여울’은 발음할 때 ㄴ음이 첨가돼 [학녀울]로 바뀐다. [학녀울]은 [항녀울]로 바뀌는데, 이는 자음동화 때문이다. [항녀울]과 ‘역’의 결합에서는 ㄴ음 첨가현상이 나타난다([항녀울녁])
서울교통공사 제공
서울교통공사 제공
‘학여울역, 늑막염, 밤이슬, 순이익, 연이율, 괴담이설, 이죽이죽 ….’ 토박이말과 한자어가 섞인 이 말들에서 찾을 수 있는 공통점은 무엇일까? 우선 모두 합성어란 점은 비교적 쉽게 알아챌 수 있을 것이다. 조금 주의 깊게 살피면 또 다른 공통점이 보인다. 우리말 발음 현상 중 하나인 ‘ㄴ음 첨가’가 일어나는 말들이란 점이다. 이들을 발음해보면 각각 [항녀울력] [능망념] [밤니슬] [순니익] [연니율] [괴담니설] [이중니죽]으로 소리 난다. 이게 원래 올바른 표준발음이다.‘순이익’ 발음 [순니익]과 [수니익]하지만 현실 어법에서 이들을 정확히 발음하기는 쉽지 않다. 외려 [하겨울력] [능마겸] [바미슬] [수니익] [여니율] [괴다미설] [이주기죽] 식으로 받침을 흘려 발음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하도 그런 발음이 많다 보니 일부는 규범으로 인정돼 복수 표준발음이 된 것도 꽤 있다.

2017년 여름 국립국어원에서는 우리말 발음에서 바로 이 ‘ㄴ음 첨가’ 현상을 놓고 고심에 고심을 거듭했다. 이 자리에서 ‘밤이슬, 순이익, 연이율, 괴담이설’ 같은 말의 발음이 복수 발음으로 허용됐다. 즉 [밤니슬/바미슬] [순니익/수니익] [연니율/여니율] [괴담니설/괴다미설] 식으로 양쪽 다 표준발음으로 인정한 것이다. 애초 ‘ㄴ음 첨가’ 현상이 일어난 발음만 표준으로 삼던 것에서 연음하는 쪽으로 바뀌어가는 현실 발음을 받아들인 셈이다.

하지만 ‘학여울역, 늑막염’ 등은 받침이 흘러내린 발음을 인정하지 않았다. 서울에서 탄천과 양재천이 만나 한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지점이 있다. 그곳에 1993년 서울지하철 3호선이 개통하면서 ‘학여울역’(강남구 대치동)이 들어섰다. 이 역의 정확한 발음은 [항녀울력]이다. 하지만 훨씬 많은 사람이 이를 [하겨울력] 식으로 연음해 발음한다. 이는 물론 틀린 발음이다. [항녀울력] 발음이 나오기까지에는 우리말 발음 규칙의 중요한 몇 가지가 담겨 있다.

우선 ‘학+여울’의 결합을 보면, 발음할 때 ㄴ음이 첨가돼 [학녀울]로 바뀐다(표준발음법 제29항). ‘막일, 늑막염, 내복약, 솜이불’ 같은 합성어를 소리 내 보면 단어와 단어 사이에서 일관되게 ㄴ음이 첨가된다. 우리말 가운데 ①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②앞말에 받침이 있고 ③뒷말 첫음절이 ‘이, 야, 여, 요, 유’로 시작할 때는 십중팔구 ‘ㄴ음 첨가’ 현상이 일어난다. [학녀울]은 이어서 다시 [항녀울]로 바뀌는데, 이는 자음동화(정확히는 비음화) 때문이다. 첨가된 ㄴ음으로 인해 앞말의 받침 ㄱ이 비음(콧소리 ㄴ, ㅁ, ㅇ)으로 바뀐다(표준발음법 제18항). 먹는[멍는] 국물[궁물] 옷맵시[온맵씨] 꽃망울[꼰망울] 밥물[밤물] 같은 게 비음화의 예다.

이제 [항녀울]에 ‘역’을 붙이면 발음이 완성된다. [항녀울]과 ‘역’의 결합에서는 마찬가지로 ㄴ음 첨가현상이 나타난다([항녀울녁]). 이어서 최종적으로 [항녀울력]으로 바뀌는데, 이는 유음화 현상(넓게는 자음동화)이다. 표준발음법 제20항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ㄴ은 ㄹ로 발음한다”는 규정에 따른 것이다. ‘서울역[서울력] 휘발유[휘발류] 물약[물략] 설익다[설릭따] 솔잎[솔립]’ 같은 게 그런 예다. 모두 ㄴ이 먼저 첨가된 뒤 앞에 있는 받침 ㄹ에 의해 동화가 일어난다.‘ㄴ음 첨가 현상’의 퇴조 점차 가속화이에 비해 ‘이죽이죽’은 애초 1988년 표준발음법 제정 때부터 제29항의 ‘다만’ 규정에서 이중 발음으로 허용한 것이다. 즉 [이중니죽/이주기죽]이 모두 표준발음이다. 이때 금융[금늉/그뮹] 검열[검:녈/거:멸]도 함께 인정됐다. ‘ㄴ음’이 첨가된 발음과 첨가되지 않은 것을 모두 표준발음으로 삼았다. ‘금융, 검열’은 합성어가 아니기에 ‘ㄴ음 첨가’ 조건이 아니지만 언중의 실제 발음이 ‘ㄴ음 첨가’로 나기 때문에 그것을 인정해 사전에 반영한 것이다.

홍성호 이투데이 여론독자부장·前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홍성호 이투데이 여론독자부장·前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그런데 ‘이죽이죽’의 본말인 ‘이기죽이기죽’은 이중 발음이 아니다. 오로지 받침이 흘러내린 [이기주기기죽]만이 표준발음이다. [이기중니기죽]은 인정받지 못했다. 언중의 현실 발음이 [이기주기기죽]으로 날 뿐 ‘ㄴ음’ 첨가한 발음은 하지 않기 때문이다. ‘ㄴ음 첨가’는 이처럼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사전에서 해당 발음 표기를 반영하게 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