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곡선과 빛의 관계 ②
포물선과 빛의 성질을 이용하면 빛을 한 방향으로 집중되어 멀리까지 고르게 비춰줄 수도 있고, 멀리에서 오는 전파를 강하게 수신할 수도 있습니다. 포물선과 빛의 성질에 관한 수학적 원리가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면서 수학의 유용성에 대해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포물선과 빛의 성질을 이용하면 빛을 한 방향으로 집중되어 멀리까지 고르게 비춰줄 수도 있고, 멀리에서 오는 전파를 강하게 수신할 수도 있습니다. 포물선과 빛의 성질에 관한 수학적 원리가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면서 수학의 유용성에 대해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포물선은 평면 위의 한 점 F와 이 점을 지나지 않는 한 직선 ℓ이 주어질 때, 점 F와 직선 ℓ에 이르는 거리가 각각 같은 점들의 집합이고, 점 F를 포물선의 초점, 직선 ℓ을 포물선의 준선이라고 합니다. 이때 포물선의 초점 F를 지나고 준선 ℓ에 수직인 직선을 포물선의 축, 포물선과 축의 교점을 포물선의 꼭짓점이라고 합니다.
포물선과 빛의 성질은 빛이 최단 경로로 진행한다는 페르마의 법칙과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도록 반사된다는 반사의 법칙에서 나옵니다. [그림1]과 같이 포물선의 초점에서 출발한 빛이 포물선에 반사되어 축과 평행하게 지나는 빛의 경로에 관한 수학적 원리를 알아봅시다.
포물선 y2=4px(p>0 ) 위의 한 점 P(x1, y1)을 지나고 축과 평행한 직선을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1y=2p(x+x1)이고, 이 접선과 x축의 교점인 T는 T(-x1, 0)입니다. 또 y12=4px1이고 P>0, x1>0이므로 다음을 얻습니다.
한편,
그러므로 ∠TPF=∠QPX입니다.
![[재미있는 수학] '장미 그림'으로 시각화…통계로 세상 구한 나이팅게일](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524.3.jpg)
![[재미있는 수학] 숫자 대할 때 1이 자주 나타나는 이유는 뭘까요?](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705.3.jpg)
![[재미있는 수학] 2차 관계식은 도형의 완벽함 그려내는 마법 주문](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199308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