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선배가 후배에게

Ⅱ 과목은 Ⅰ 과목에 비해 더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고, 과학 원리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일부 대학에서 Ⅱ 과목에 응시한 수험생에게 가산점을 부여한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대학 생글이 통신] 수능 과학탐구Ⅰ과 Ⅱ 중 어느 쪽이 유리할까
현재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4교시 탐구 영역은 크게 과학탐구와 사회탐구로 나뉩니다. 과학탐구는 다시 물리학Ⅰ과 물리학Ⅱ, 화학Ⅰ과 화학Ⅱ, 생명과학Ⅰ과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Ⅰ과 지구과학Ⅱ로 나누어집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도자료를 보면 2025학년도 수능 과학탐구 응시자 중 약 40만7000명이 Ⅰ 과목을, 약 2만6000명이 Ⅱ 과목을 선택했습니다. 이렇게 과학탐구에서 Ⅰ 과목과 Ⅱ 과목 선택자 수에 극단적인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 번째는 Ⅰ 과목과 Ⅱ 과목의 접근성 차이 때문입니다. 대부분 고등학교에서 Ⅰ 과목 수업은 2학년 때 하지만, Ⅱ 과목 수업은 3학년에 배치돼 있습니다. 내신보다는 수능 준비에 비중을 둘 수밖에 없는 고등학교 3학년 때 Ⅱ 과목 공부에 집중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또 Ⅰ 과목은 내신에서 상대평가로 성적이 반영되지만, Ⅱ 과목은 절대평가로 반영돼 공부해야 할 양에 차이가 나는 것도 사실입니다.

두 번째는 Ⅱ 과목의 진입 장벽이 높다는 점입니다. 우선 Ⅱ 과목에서 배우는 내용의 양이 Ⅰ 과목보다 많고 생소합니다. 더구나 Ⅱ 과목 수업을 하는 학원이나 인터넷 강의도 많지 않습니다. 생명과학Ⅱ를 예로 들면, 생명과학Ⅰ은 5개 단원인 데 비해 생명과학Ⅱ는 6개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생명과학Ⅱ를 다루는 인터넷 강의는 EBS 강의 외에는 3개 이상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Ⅰ과 Ⅱ에서 다루는 내용과 출제되는 문제가 전혀 달라 Ⅰ 과목을 먼저 배운 대부분 학생은 Ⅱ 과목의 새로운 내용을 빠르게 습득해 문제를 풀기가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그런데도 약 2만6000명의 학생이 수능에서 Ⅱ 과목을 선택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Ⅱ 과목은 Ⅰ 과목에 비해 더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고, 과학 원리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일부 대학에서 Ⅱ 과목에 응시한 수험생에게 가산점을 부여한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원점수가 같다고 할 때 보통 Ⅱ 과목의 표준점수가 I 과목보다 높습니다. 다만, 표준점수는 매번 시험 난이도나 응시자 표본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라 단순히 높은 표준점수를 기대하고 Ⅱ 과목을 선택하는 것은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단순히 응시자가 많은 과목을 선택하기보다는 자기가 흥미를 갖고 공부할 수 있고,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탐구 영역에서 성공할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수아 가천대 의예과 25학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