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교과서와 책을 잇는 주제 읽기 ① 사회문화의 연구 방법
이번 호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교과서와 책을 잇는 주제 읽기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논술고사에서 자주 출제되는 주제 중에서 유의미하게 책과 함께 공부해보고 다방면으로 줄기를 뻗어나가는 유익한 시간이 되면 좋겠습니다.교과서와 책을 잇는 주제 읽기 ① 사회문화의 연구 방법
처음으로 다룰 주제는 사회문화의 연구 방법입니다. 여러분, 왜 사회학이 아니라 사회과학이라고 할까요? 대학에서 모집하는 계열에서도 그런 용어를 보게 될 거예요. 예를 들어 성균관대학교는 인문과학계열/사회과학계열/경영학/글로벌계열(리더학, 경제학, 경영학)로 나누어 모집합니다. 사회를 연구하는 학문을 사회과학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사회문화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여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지식을 양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근대에 들어선 인류는 인간 존재와 사회에 대해 합리적 지식을 쌓기 위해 미신이나 개인적 견해를 부인하고 과학적 방법으로 접근하기 시작했습니다. 여러 과학적 연구 방법이 있는데, 이들을 다시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는 논술고사에서도 빈출되는 주제이기 때문에 깊이 공부해둘 필요가 있겠지요?
방법론적 일원론은 사회문화 현상이 자연현상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구될 수 있다는 이론적 관점으로, 사회현상 속에 인과관계와 같은 법칙이 내재해 있다고 간주합니다. 한편 방법론적 이원론은 사회문화 현상에 인간의 주관적 내면과 상황이 개입되어 복합적으로 전개된다고 믿으며, 자연과학과 상이한 방법으로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일원론에 근거한 방법이 양적 연구, 이원론에 근거한 방법이 질적 연구라고 명명할 수 있습니다.
양적 연구는 문제를 인식하고 가설을 설정한 후,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 기법을 이용해 가설을 검증합니다. 이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여 모집단 전체에 일반화하는 시도를 통해 연구를 수행합니다. 반면 질적 연구는 심층적 자료를 수집해야 하므로 주로 면접, 참여 관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직관적 통찰, 감정이입적 이해를 통해 자료를 해석합니다.
![[2025학년도 논술길잡이] 사회현상 속엔 자연과학 이상의 원리가 존재할까?](https://img.hankyung.com/photo/202501/AA.39217598.1.jpg)
사실 이 실험은 폴란드계 미국인 심리학자 솔로몬 애시가 1951년에 수행한 내용입니다. 이른바 ‘선분 동조 실험’으로 알려져 있죠. 실제 이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이 반원으로 둘러앉아 차례대로 답을 말하도록 했는데, 정답이 확실하지만 오답에 동조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많게는 65~70%를 넘어섰을 정도라고 합니다. 변수를 통제하기 위해 여러 차례 시행을 거쳐 애시가 얻은 결론은 ‘답이 명확할 때도 사람들은 계속해서 타인을 모방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의 책을 추천해드립니다. 꼭 한번 읽어보길 바라요.
추천도서 : 조나 버거, <보이지 않는 영향력>
다시 돌아와서, 솔로몬 애시가 수행한 연구 방법은 무엇인가요? 바로 양적 연구(방법론적 일원론)입니다. 사회현상에도 자연과 같이 인과관계가 있다는 가정하에 오답을 말하는 것이 동조현상이라고 정의한 후 여러 차례 양적 실험을 거쳐 수치화된 통계로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동조현상은 심지어 자연계에서도 나타납니다. 사이언스 타임스에서 2018년 7월 7일에 보도한 ‘심리학자 뺨치는 기생충의 전략은?’이라는 과학 기사는 매우 흥미롭습니다. 기사 내용에 따르면 독일 뮌스터 대학교 연구진이 큰가시고기라는 물고기 집단에서도 이 같은 집단 동조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큰가시고기의 천적은 물 밖에서 이들이 수면 위로 떠오르기만을 기다리는 물새들인데, 큰가시고기의 몸속으로 솔리두스라는 기생충이 들어가면 큰가시고기를 수면으로 가도록 유도합니다. 그런데 이때 감염되지 않은 큰가시고기들조차도 기생충에 감염된 개체들을 따라 수면으로 이동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애시가 설명한 동조현상이 인간만의 경향성이 아니라 생물의 집단적 본능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겠죠?
![[2025학년도 논술길잡이] 사회현상 속엔 자연과학 이상의 원리가 존재할까?](https://img.hankyung.com/photo/202501/AA.39217587.1.jpg)
추천 도서: 대럴 허프, <새빨간 거짓말, 통계>
따라서 두 연구 방법은 모두 적절히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인간의 내면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주변 맥락과 함께 그 행동의 의미를 이해해본 후(질적 연구), 그 연구에서의 결론을 일반화하기 위해 비슷한 상황에 있는 다른 이들의 내면에 대해서도 탐구 조사를 해봅니다. 이렇게 얻은 결론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방법을 모두 사용해 각각의 장점을 취합하게 되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