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적으로 팬데믹과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한 정책도 필요하지만, 중장기적 전략을 병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첨단기술 산업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외부 요인의 변동으로부터 경제가 입는 타격을 줄이려면 경제 기초 체질이 강해져야 한다. 미국은 팬데믹과 인플레이션으로 세계경제가 혼란을 겪는 와중에도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때 9%까지 오른 물가상승률은 2%대로 내려왔고 경제성장률도 2%대 중반으로 여느 선진국의 두 배 수준이다.
미국은 지원금 지급 등 단기적 대책 외에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기반 시설 투자 및 일자리법 등 기업 투자를 확대하고 경제 체질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을 펼쳤다. 연구·개발과 산업 기반 확보에 투자한 결과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요점은 단기적으로 팬데믹과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한 정책도 필요하지만, 중장기적 전략을 병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첨단기술 산업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아야 한다.
이도윤 생글기자 (세인트폴 아카데미 대치 12학년)
![[생글기자 코너] 케데헌, 한국 전통문화의 힘 일깨웠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593.3.jpg)
![[생글기자 코너]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의 효과와 한계](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587.3.jpg)
![[생글기자 코너] 아베노믹스가 일본 경제에 남긴 것](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594.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