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 폭염
전국이 뜨거운 여름을 보내고 있다. 서울에서는 지난달 19일 최고기온이 36℃에 육박했다. 6월 중순 기준으로 75년 만에 최고치다. 경북 지역은 37.7℃를 기록한 곳도 있었고, 경산은 39℃에 달했다. 최근 폭염 시기가 더 빨리 찾아오고 있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올해 역대 가장 뜨거운 해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때 이른 폭염으로 전 세계가 뜨거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Pixabay
때 이른 폭염으로 전 세계가 뜨거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Pixabay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것은 한국만이 아니다. 인도는 지난 5월 최고기온이 50℃에 육박하는 등 극한의 더위를 겪었다. 폭염으로 온열질환 사망자가 100명 넘게 발생했다. 미국도 곳곳이 무더위에 시달렸다. 북동부 지역 농작물 작황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캔자스 등 미국 곡창지대는 극심한 가뭄으로 밀 재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폭염은 비정상적 고온 현상이 며칠간 지속되며 일상생활에 피해를 주는 재해를 뜻한다. 한국에서는 체감온도가 33℃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경우 ‘폭염주의보’를, 35℃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되면 ‘폭염경보’를 발령한다. 폭염이 이어져 한밤중에도 기온이 25℃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열대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흔히 한반도의 폭염 원인으로는 북태평양·티베트 고기압의 발달, 엘니뇨 현상,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 등이 꼽힌다. 특히 2018년에는 대기 상층에서 티베트 고기압, 대기 중하층에서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평년보다 강하게 발달해 뜨겁고 습한 공기가 한반도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면 무더운 날씨가 이어졌다.

지난해는 엘니뇨의 영향으로 지구가 뜨겁게 달궈졌다. 현대적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후 가장 더운 여름으로 기록됐다. 엘니뇨는 태평양 해수가 수개월 동안 비정상적으로 따뜻해지는 현상이다. 따뜻해진 바닷물이 열을 대기 중으로 방출하면, 지구의 대기순환이 바뀌며 기상이변이 속출한다. 엘니뇨가 끝날 무렵엔 반대로 바닷물이 차가워지는 라니냐 현상이 발생할 때가 많다.

엘니뇨와 라니냐 현상의 여파는 상당하다. 기상이변은 물론, 농작물 작황에도 영향을 미친다. 태평양 동부 해안 국가는 강수량이 증가하고, 동남아시아 국가는 가뭄으로 피해를 입는다. 엘니뇨는 겨울철 폭설의 원인으로 꼽히기도 한다.

지난 5월 독일 요하네스 구텐베르크대와 영국 케임브리지대 등 공동 연구팀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2023년 북반구의 여름은 기원후 2000년 동안 가장 더웠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약 1만 그루의 나무와 화석에서 나이테 데이터를 수집한 뒤 분석했는데, 그 결과 기원후 246년 가장 무더웠던 여름보다 2023년 여름의 온도가 0.5℃ 높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연구에 따르면 북반구 여름 기온은 엘니뇨 현상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20세기 이후로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온난화가 엘니뇨 현상을 더욱 강화시켜 여름 기온을 높이고 있다. 연구팀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이지 않는 한 이런 추세는 계속될 것"이라고 경고하며 “올여름에도 기록적인 더위가 전 세계를 덮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6월 3일, 세계기상기구(WMO)는 엘니뇨 현상이 종료되고, 올해 말 라니냐 현상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통상 엘니뇨는 지구온난화를 가속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라니냐는 지구 기온상승을 일부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엘니뇨가 종료되더라도, 올여름 폭염은 지속될 전망이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산하 국립환경정보센터(NCEI)에 따르면, 작년에 이어 올해도 최고 기온 신기록이 될 확률이 61%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폭염 발생 일수도 급증하고 있다. 국제환경개발연구소(IIED)에 따르면, 최근 30년간 전 세계 주요 대도시에서 35℃ 이상 폭염을 기록한 날이 52%나 증가했다. 특히 서울, 런던, 도쿄, 파리 등 인구가 밀집한 대도시에서는 폭염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4년부터 2003년까지의 폭염 발생일 수는 4755일이었으나, 2014년부터 2023년까지는 6500일가량이 기록됐다.

연구소는 “대도시는 아스팔트와 고층 건물로 인해 열이 흡수·유지되며, 이로 인해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에 매우 취약하다”고 밝혔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폭염과 열대야 발생 빈도는 2000년대 이후 확연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기상청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이 크다고 분석했다.√ 기억해주세요
[과학과 놀자] 온난화로 강도 세진 엘니뇨, 지구 더 달군다
엘니뇨는 태평양 해수가 수개월 동안 비정상적으로 따뜻해지는 현상이다. 따뜻해진 바닷물이 열을 대기 중으로 방출하면, 지구의 대기순환이 바뀌며 기상이변이 속출한다. 엘니뇨가 끝날 무렵엔 반대로 바닷물이 차가워지는 라니냐 현상이 발생할 때가 많다. 20세기 이후로 온실가스 배출에 인한 지구온난화로 엘니뇨 현상이 더 강해지면서 여름은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기상이변은 물론, 농작물 작황에도 영향을 미친다. 태평양 동부 해안 국가는 강수량이 증가하고, 동남아시아 국가는 가뭄으로 피해를 입는다. 엘니뇨는 겨울철 폭설의 원인으로 꼽히기도 한다.

조혜인 과학칼럼니스트·前 동아사이언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