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先甲後甲 (선갑후갑)
▶ 한자풀이
先: 먼저 선
甲: 갑옷 갑
後: 뒤 후
甲: 갑옷 갑


법 제정을 신중히 검토한다는 뜻으로
일 처리에 사려가 깊고 추구함이 넓음
-<주역>

갑(甲)은 법령을 새로 만드는 것을 뜻한다. 그러니 선갑후갑(先甲後甲)은 법 제정의 전후를 이른다. 이는 선갑삼일(先甲三一) 후갑삼일(後甲三一)을 줄인 것으로, 새로운 법령을 제정하기에 앞서 3일 동안 신중하게 생각하고 만든 후에도 3일 동안 다시 검토한다는 뜻이다. 일을 처리하는 데 사려가 깊고 추구함이 넓음을 이르는 말이다. ’선경후경(先庚後庚)‘으로도 쓰며, 원전은 <주역>이다.

<성종실록>에도 사헌부 대사헌 이세좌 등이 왕에게 상소하는 내용이 전해온다.

“<주역>의 고괘에 이르기를 ‘선갑삼일 후갑삼일’이라 하였고 손괘의 구오에 이르기를 ‘선경삼일(先庚三日) 후경삼일(後庚三日)’이라고 하였으니, 성인이 정교를 제작할 적에 그 선후를 잘 생각하여 폐단을 구제하고 행할 만한 도가 되면 명령을 발하여 시행하고, 그 변경하는 것을 잘 헤아려서 뒤에 이롭고 오래 행할 만한 방법으로 삼았으니 지극하다고 하겠습니다. 만약 한 사람의 말로써 오늘에 한 가지 법을 세웠다가 한 사람의 말로써 내일 한 가지 법을 허물어뜨리면 성인이 말씀하신 ‘선갑후갑 선경후경’의 뜻이 아닙니다.”

법은 나라를 세우는 기둥이다. 기둥이 곧고 단단해야 나라가 바로 선다. 법을 만드는 것은 생선을 굽는 것과 같다고 했다. 지나치게 뒤집으면 살점이 모두 떨어져나가고 가시만 남는다. 신중하게 제정하고 제정된 법은 쉬이 바꿔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이에 비해 조령모개(朝令暮改)는 ‘아침에 내린 명령을 저녁에 바꾼다’는 뜻으로, 일관성 없는 정책이나 방침을 꼬집는 말이다. 한나라 어사대부 조착(錯)은 “부역과 세금의 시기가 정해지지 않으면 아침에 영을 내리고 저녁에 고치는 조령모개의 결과를 가져온다”며 당시 법이 일관성 없이 시행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가까이만 보면 먼 곳에 화(禍)가 있고, 멀리만 보면 가까이에 화가 있다. 두루 보고 멀리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