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이슈 찬반토론] 한은 "AI가 일자리 341만 개 대체"…규제 필요할까](https://img.hankyung.com/photo/202311/01.35118505.1.jpg)
실업이 단기적으로 급증하면 사회적 손실도 만만찮다. 사회적 비용은 국가 혹은 재정의 부담 증가를 의미한다. 고용보험에 따른 실업급여 지출 증가가 그런 사례다. 가뜩이나 지출할 데가 많은 정부가 이런 비용까지 제대로 충당하기는 어렵다. 그러니 당사자들에게 준비할 시간을 주면서, 경제와 산업 구조에도 큰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변화를 추구하는 게 바람직하다. 흔히 산업구조의 변화의 필요성을 말하지만 산업구조는 단시일에 바꾸기도 어렵다. 사회 구성원들의 직업적 안정을 감안하면 단기 급변동이 바람직한 것도 아니다. 예측 불가능한 ‘불안한 혁명’보다 예측이 가능하고 통제도 가능한 ‘점진적 변화’가 좋다. 더구나 AI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대체될 수 있는 직업군은 지식 기반의 전문직이다. 이들의 대량 실직에 따른 사회적 충격은 심각할 것이다. AI 혁명으로 새로운 일자리가 생긴다지만 이는 원론적인 얘기일 뿐이다. 당장에 새 일자리가 바로 생기는 것이 아닌 만큼 피해 계층은 나오기 마련이다. 진화하는 AI 기술의 산업 및 일상생활 적용은 윤리 문제와도 부딪치고 전통적 지적재산권 체계와도 충돌한다. 이런 것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법적 정비도 중요하다. 이런 문제도 살펴보면서 천천히 이행해야 한다.[반대] 산업·정보혁명, 새로운 일자리 창출…'AI 포비아'가 미래 발전 막는다새로운 기술이 기존 일자리를 대체한다는 관점에서만 보면 AI 혁명은 다소 부담스러운 측면도 있다. 하지만 인류 역사를 돌아보면 신기술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생산성을 혁신한다. 산업혁명기를 보자. 제3의 물결(앨빈 토플러)이라는 정보혁명은 어떤 결과를 낳았나. 농어업 시대에는 농사와 어로 외엔 살아갈 방도가 없었지만 탈농업의 시대를 거치며 2차 산업 쪽에서 좋은 일자리가 수없이 생겨났다. 산업혁명(제2의 물결,토플러)과 정보혁명으로 서비스산업이라는 3차 산업에 무수히 많은 일자리가 생겨났다. 한국도 이미 3차 산업에 종사자가 일자리의 절반을 넘어선 지 오래고, 이제는 고용의 70%를 넘었다. 한국의 3차 산업 GDP 비중은 62.5%(2021년)에 달하지만 영국(81%)·미국(78%) 등과 비교하면 아직 갈 길이 멀다.
산업혁명 이후 포드 시스템, 컨베이어 시스템, 기계화·컴퓨터화 등을 거치며 일자리와 직업의 세계는 놀랍게 변화해왔다. 이제 AI 혁명으로 3차 산업이라는 서비스산업은 또 한번 획기적으로 비약할 것이다. 전통적 관광·교육·여가·레저·금융 부문의 생산성을 높이면서 의료·법률·지식재산 분야 같은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을 확충해나가는 게 중요하다.
대대적 규제 혁파로 서비스산업에서 새 일자리가 많이 생기도록 하는 게 현실적이다. 산업혁명 직후 러다이트운동(기계 파괴) 같은 막연한 ‘AI 포비아’는 금물이다. ‘원격의료 반대’ 주장 때문에 12년째 그대로인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도 제정 속도를 내야 하고, 정부와 민간 합동의 서비스산업발전 TF도 실행안을 내놔야 한다. AI 기술을 잘 활용하면 신(新)서비스산업에서 좋은 일자리 창출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그런 일자리야말로 좋은 고용이다. 피할 수 없는 이 시대의 메가트렌드이기도 하다. 기득권을 좇는 그룹의 반발에 부딪쳐 AI 기술을 가로막는다면 그야말로 소탐대실이다. 우리 스스로 발목을 잡는 우를 범하게 된다.√ 생각하기 - AI혁명 눈여겨봐야…기득권 집단 '지대추구'는 경계 대상
![[시사이슈 찬반토론] 한은 "AI가 일자리 341만 개 대체"…규제 필요할까](https://img.hankyung.com/photo/202311/AA.30636779.1.jpg)
허원순 한국경제신문 수석논설위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