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선배가 후배에게
'오답의 근거' 찾기는 시험지에 있는 모든 선지에 근거를 달아 보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오답의 근거' 찾기는 시험지에 있는 모든 선지에 근거를 달아 보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대부분의 기출은 이미 한 번씩 풀어 봤을 겁니다. 따라서 평가원 기출을 시간 맞춰 풀고, 채점하고, 오답 노트를 만드는 방식의 공부법은 더 이상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평가원 기출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정답은 바로 문제를 분석하는 데 있습니다. 평가원 기출은 우리가 분석할 수 있는 가장 양질의 문제들이 모여 있는 시험지이기 때문입니다.
문제 분석은 단순히 정답과 그 근거를 찾아내는 과정이 아닙니다. 평소에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던 ‘오답의 근거’도 찾아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시험지에 있는 모든 선지에 근거를 달아 보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어쩌면 조금 귀찮을 수 있지만, 이 과정을 통해 문제 유형별로 어떤 포인트에서 정답과 오답이 도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특히 자신 없는 주제의 독서 지문이 있나요? 저는 기술이나 경제 분야의 지문을 맞닥뜨렸을 때 크게 긴장한 것 같습니다. 어쩌면 난도가 낮은 지문이었을 수도 있지만, 이런 긴장감으로 인해 지문 하나를 아예 날린 기억도 있습니다.
저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평가원 기출을 활용해 ‘지문 구조 분석’을 해 봤습니다. 지문의 주제별로 몇 가지 특징적 구조를 보이는데, 이를 직접 정리해 본 겁니다.
우리는 경제나 과학 시험을 보는 것이 아니라, 국어 시험을 보는 겁니다. 지문 구조에 익숙해지면 일단 자신감이 생깁니다. 수능 시험은 최악의 조건에서도 문제를 잘 풀 수 있도록 준비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이렇게 지문 구조를 분석하는 연습을 바탕으로 낯선 지문도 차분하게 독해할 수 있는 습관을 들인다면 큰 도움이 될 겁니다.
수능 시험은 평가원이 출제하는 시험인 만큼 수능일과 가까워질수록 ‘평가원감’을 놓쳐서는 안 됩니다. 저는 여름부터 6월 평가원 모의고사, 9월 평가원 모의고사, 그리고 수능 기출을 7개년→5개년→3개년 순서로 양을 조금씩 줄여 가며 반복 학습했습니다. 여러분의 상황에 맞추어 기출의 양을 늘리거나 줄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조인영 연세대 사회학과 21학번
![[대학 생글이 통신] 전공 선택 고민된다면 자유전공학부가 대안](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75.3.jpg)
![[대학 생글이 통신] 영어 3등급 미만, 듣기·독해 동시에 하지 마세요](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74.3.jpg)
![[대학 생글이 통신] 서·고·연 제시문 면접을 위한 꿀팁](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745.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