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선배가 후배에게
우리는 사회에 속해 있기 때문에 사회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얻는 것은 중요합니다. 또 생각과 사고가 자라나게 하려면 사회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신문을 보면 이런 것들이 가능해집니다.
학창 시절에는 학교 시험과 수능 보는 일에 집중하기 마련입니다. 그것이 학생의 본분을 다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학교 시험과 수능을 대비해 공부하는 것은 진학이란 목표를 이루고 교양지식을 쌓는 정도 외에 큰 의미가 없다고 느낄 때가 많을 겁니다.우리는 사회에 속해 있기 때문에 사회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얻는 것은 중요합니다. 또 생각과 사고가 자라나게 하려면 사회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신문을 보면 이런 것들이 가능해집니다.
공부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하면, 시험 준비는 머리를 더 똑똑하게 하는 기능을 하지 않습니다. 시험공부는 말장난하는 문제를 얼마나 잘 푸느냐, 교과서에 숨은 지엽적인 부분까지 얼마나 잘 외우느냐의 문제가 돼 시험이 다 끝나고 나면 허탈해지기도 합니다. 시험을 잘 본 덕분에 저는 감사하게도 서울대에 진학했습니다. 그러나 대학 타이틀을 떼고 냉정하게 자신을 돌아보면 특별히 할 줄 아는 게 없고 고작 시험 하나 잘 보는 초라한 모습이었습니다.
경영학의 구루 피터 드러커가 한 말 중에 가장 인상 깊은 게 있습니다. “하지 않아도 될 일을 효율적으로 하는 것만큼 쓸모없는 일은 없다.” 제가 중·고등학교 시절 한 일을 정확히 표현한 말 같았습니다. 시험공부를 열심히 효율적으로 했지만, 사실 그것은 저라는 사람을 성장시키는 일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매우 쓸모없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시험공부를 포기하고 제 갈 길을 가기엔 부담스러운 게 사실입니다. 노력하면 시험을 잘 볼 수 있는데 굳이 공부하지 않고 주변의 기대를 저버릴 수 있을까요. 저 역시 좋은 대학교에 가서 어느 정도 보장된 삶을 살고 싶다는 마음도 있었습니다.
시험공부를 안 하기에도 그렇고, 계속 시험공부만 하기도 싫었던 제가 선택한 타협안은 틈틈이 신문을 보는 것이었습니다. 물론 사람마다 타협 방법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을 좋아하는 친구는 짬을 내 수학과 코딩을 하면 되고, 디자인을 하고 싶어하는 사람이면 디자인을 하면 되는 것이죠. 저는 사회과학을 공부하고 싶었고 전반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방안을 생각하다 보니 신문 보는 것을 선택한 것입니다.
사회과학대생이 되려고 생각하지 않았더라도 우리는 사회에 속해 있기 때문에 사회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얻는 것은 중요합니다. 또 생각과 사고가 자라나게 하려면 사회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신문을 보면 이런 것들이 가능해집니다. 생각의 깊이는 대화하다 보면 드러나게 마련입니다. 현명하고 생각이 깊은 사람이 되는 과정은 낭비가 아닙니다.
한국경제신문은 고등학교 때 읽었던 신문 중 하나입니다. 신문 기사의 양이 많고 어렵다면 뉴스레터를 구독해도 좋습니다. 뉴스레터는 다양한 주제와 난도로 발행돼 편하게 읽을 수 있습니다. 매일 조금씩 읽다 보면 나중에는 지식이 쌓여 더 나은 사람이 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겁니다.
이지원 서울대 경제학부 22학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