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GettyImagesBank
GettyImagesBank
미국 중앙은행(Fed)의 ‘3연속 자이언트 스텝’ 결행에 원·달러 환율이 심리적 저지선인 1400원은 물론이고 장중 1410원대까지 속절없이 무너졌다. 1400원대 진입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년6개월 만의 일이다. ‘물가 상승률 2%’를 확신할 때까지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제롬 파월 Fed 의장의 한마디에 한국 금융시장이 다시 폭풍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모습이다. (중략)

원화 가치의 가파른 하락도 그렇지만 외환·통화당국의 강력한 구두 개입이 전혀 약발을 받지 못한 것은 우려스럽다. 1400원 저지선이 힘없이 뚫리자 정부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단호하게 대응하겠다”고 강조했지만, 원화 가치는 속절없이 주저앉았다. 각종 경제·투자지표도 일제히 곤두박질쳤다. 코스피지수는 최근 7거래일 동안 117포인트 급락했고, 국채(3년물) 금리도 11년여 만에 연 4%대를 뚫었다. (중략) 기준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연체율이 1.8%포인트 치솟는 취약 자영업자들의 고통도 가중될 수밖에 없다. (중략)

지금 우리 경제는 시계 제로 상황이다. ‘경제 버팀목’인 수출이 6개월 연속 부진해 무역적자가 300억달러에 육박한 상황이라 조그마한 악재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만큼 실물경제도 취약하다.

<한국경제신문 사설>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비문학 지문으로 윗글이 제시됐다고 합시다. 생소한 단어와 문장, 문맥에 여러분은 꽤 당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쫄지 마세요. 수능은 사전 지식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제시문을 잘 읽으면 문제를 오히려 쉽게 풀 수 있습니다.

제시문의 주제는 환율·금리의 변동과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입니다. 글 순서대로 분석해봅시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미국에 있는 중앙은행이라는 뜻입니다. 우리나라의 한국은행 같은 곳이죠. Fed는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를 줄여 말하는 겁니다. 엄격히 말하면 한국은행과 같은 중앙은행은 아닙니다. 통상 Fed를 미국 중앙은행이라고 표현해주죠. 비슷한 일을 하니까요.

‘3연속 자이언트 스텝’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씩 세 번 올렸다는 뜻입니다. Fed는 평상시엔 스몰 스텝(0.25%포인트)으로 기준금리를 올렸다 내렸다 합니다만, 비상시에는 더 크게 올리고 내리고 합니다. 세 번 연속으로 올렸다는 말은 경제가 심상찮다는 뜻인 거죠. 원·달러 환율은 ‘1달러에 원화 얼마’를 뜻합니다. 1달러를 사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1400원, 1410원, 1420원을 줘야 한다면 원·달러 환율이 상승했다고 표현합니다. 환율 급상승을 사설은 걱정합니다.

‘물가 상승률이 2%가 될 때까지 금리를 올리겠다’는 표현은 한국은행과 마찬가지로 미국 중앙은행의 제1 정책목표도 물가 안정에 있음을 강조한 겁니다. 미국 물가는 최근 9% 이상으로 치솟았습니다. 물가가 많이 오르면 국민이 생활하기 어렵고, 기업 실적도 나빠지고, 결국 고용 대신 해고가 늘어납니다. 해고는 실업률을 높이고 소득 기회를 감소시켜 경제를 더 악화시킵니다. 4면에서 지적했듯이 중앙은행은 금리 정책으로 물가와 경기를 조절하려 합니다.

제시문은 한국은행을 비판합니다. 환율을 잡기 위해 시장에 개입하겠다고 한은이 말했지만, 약발이 들지 않는다는 거죠. 금리가 치솟으면 연체율이 올라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연체율은 빌린 돈을 제때 갚지 못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이것이 오른다는 것은 장사나 사업 등이 안돼 빚을 못 갚는다는 의미죠.

‘우리 경제가 시계 제로 상황이다’라는 표현은 향후 경제 상황도 좋아지기 어려운 여건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대표적인 지표로 무역수지 적자를 지적했습니다. 무역수지는 수출액과 수입액을 계산해 산출합니다. 수출국인 우리나라가 무역적자라면 상황이 심각한 거죠. 이 사설의 제목을 한번 붙여보세요.

고기완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NIE 포인트1.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다는 말의 의미를 예를 들어 설명해보자.

2. 금리와 환율의 급상승과 주식시장 하락 간 관계를 알아보자.

3. 미국 중앙은행과 한국은행의 차이를 비교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