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금리·환율 제시문이 수능 국어에 나온다면…두 지표와 경제상황 연결 짓는 문해력 필요

    미국 중앙은행(Fed)의 ‘3연속 자이언트 스텝’ 결행에 원·달러 환율이 심리적 저지선인 1400원은 물론이고 장중 1410원대까지 속절없이 무너졌다. 1400원대 진입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년6개월 만의 일이다. ‘물가 상승률 2%’를 확신할 때까지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제롬 파월 Fed 의장의 한마디에 한국 금융시장이 다시 폭풍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모습이다. (중략)원화 가치의 가파른 하락도 그렇지만 외환·통화당국의 강력한 구두 개입이 전혀 약발을 받지 못한 것은 우려스럽다. 1400원 저지선이 힘없이 뚫리자 정부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단호하게 대응하겠다”고 강조했지만, 원화 가치는 속절없이 주저앉았다. 각종 경제·투자지표도 일제히 곤두박질쳤다. 코스피지수는 최근 7거래일 동안 117포인트 급락했고, 국채(3년물) 금리도 11년여 만에 연 4%대를 뚫었다. (중략) 기준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연체율이 1.8%포인트 치솟는 취약 자영업자들의 고통도 가중될 수밖에 없다. (중략)지금 우리 경제는 시계 제로 상황이다. ‘경제 버팀목’인 수출이 6개월 연속 부진해 무역적자가 300억달러에 육박한 상황이라 조그마한 악재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만큼 실물경제도 취약하다.<한국경제신문 사설>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비문학 지문으로 윗글이 제시됐다고 합시다. 생소한 단어와 문장, 문맥에 여러분은 꽤 당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쫄지 마세요. 수능은 사전 지식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제시문을 잘 읽으면 문제를 오히려 쉽게 풀 수 있습니다.제시문의 주제는 환율·금리의 변동과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입니다. 글 순서대로 분석해봅시다. 미국 중앙은행(Fe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한 해·한 분기 등 특정 기간을 시가총액·자본은 연말·분기말 등 특정 일 기준 삼죠

    주식에 투자할 때 각종 지표를 살피는 건 필수입니다. 기업 실적과 관련한 지표는 물론, 거시경제 흐름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파악할 때 필요한 지표들도 챙겨봐야 할 때가 많습니다. 오늘은 이런 경제지표들을 읽을 때 알아두면 좋은 기본 팁에 대해 알아봅니다. 시점과 기간을 구분하자경제지표를 읽을 때 가장 먼저 구분할 점은 지표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 특정 시점인지 아니면 기간인지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 기업의 실적은 기간을 표현하는 지표입니다. 매출, 영업이익 등 실적 지표를 보면 기업이 한 해 동안 또는 한 분기 동안 돈을 얼마나 벌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특정 기간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는 국내총생산(GDP), 국제수지 등이 있습니다.기간이 아니라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적는 지표도 있습니다. 주식의 시가총액, 기업의 자본, 한 나라의 외환보유액 등이 그렇습니다. 이런 지표들은 특정 일을 기준으로 경제주체의 상태를 표현합니다. 연말, 분기 말, 월말처럼 특정한 시점이 이런 지표들을 뒷받침합니다. 예를 들어 ‘지난해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639억달러다’라는 문장은 의미가 정확하지만, ‘지난해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639억달러다’라는 문장은 의미가 모호합니다. 외환보유액은 특정 시점을 표현하는 지표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내 지갑에는 만원이 있었다’와 ‘그저께 내 지갑에는 만원이 있었다’ 가운데 어떤 표현이 더 정확한지를 생각해보면 됩니다. 비교 시점을 정확히 알자특정 지표가 어느 시점보다 증가했는지, 감소했는지를 표현할 때는 비교하는 시점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