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특징 중 하나는 10대 청소년의 자살률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청소년 자살률은 절대 수치는 다른 연령에 비해 낮지만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자살 시도에 의한 응급실 내원 중 10대가 차지하는 비중도 커지고 있다. 입시 스트레스와 학교 폭력, 가정환경 악화 등이 청소년 자살의 주된 원인이다.
자살 예방 활동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청소년이 보이는 자살 위험 신호를 교사가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T-생명지기’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또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인 ‘A-생명지기’를 개발해 학생들이 또래 관계에서 위험 징후를 알아채고 자살 예방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이 발생하면 2~3년간 자살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한다. 청소년의 스트레스 원인을 파악하고 위험 징후를 포착해 극단적인 시도를 막을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이재현 생글기자(이대부고 2년)
![[생글기자 코너] '상품 외 감귤' 단속, 시장 실패 보완할 수 있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11.3.jpg)
![[생글기자 코너] 나라 미래 어둡게 하는 과학기술 두뇌 유출](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10.3.jpg)
![[생글기자 코너] 화폐 불신이 불러온 '에브리싱 랠리'](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12.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