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식과 보충을 위한 시간이라는 방학의 원래 의미를 되찾으려면 사교육 의존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학원에서 보내는 시간을 줄이고 자기 주도 학습을 통해 스스로 계획하고 공부할 때 학습 효과도 더 커질 것이다.

[생글기자 코너] 방학의 본래 의미 되찾을 수 있어야
초중고교 여름방학이 끝나고 2학기가 시작됐다. 여름방학이 너무 빨리 지나갔다고 느끼는 학생이 많을 것이다. 방학 기간 자체가 짧기도 했지만, 더욱 그렇게 느껴질 만한 이유가 있다.

방학의 본래 의미는 휴식과 보충에 있다. 45분 단위로 짜인 시간표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고, 학기 중에 가지 못한 여행을 가거나 부족한 공부를 보충하는 시간이다. 잠도 충분히 자면서 체력을 보충할 기회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학생들이 방학을 보내는 모습은 다르다. 아침 일찍 학원에 가서 밤늦게야 집에 돌아오는 생활을 반복하며 학기 중보다 오히려 더 바쁜 일정을 보낸다. 학원 시간에 맞추느라 더욱 수동적으로 생활하고, 수면 시간은 학기 때와 마찬가지로 부족하다. 학기 중에 부족했던 부분을 방학 때 채우는 것은 필요한 일이라고 하겠지만, 요즘 학생들의 모습은 그런 수준을 넘어선다.

과도한 사교육 열풍이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 6학년이 고등학교 수학을 배우고, 6세 이하 영유아도 절반가량이 사교육을 받는 현실을 아무리 생각해도 지나치다. 어린 학생들에게 과도한 학습을 요구하는 세태가 방학 생활마저 바꿔놓았다.

휴식과 보충을 위한 시간이라는 방학의 원래 의미를 되찾으려면 사교육 의존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학원에서 보내는 시간을 줄이고 자기 주도 학습을 통해 스스로 계획하고 공부할 때 학습 효과도 더 커질 것이다. 방학 때만이라도 학생들이 자신의 생활을 직접 설계하고 실천하며 공부와 휴식의 균형을 취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김세현 생글기자(신반포중 2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