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이야기
과학과 놀자 (56) 디지털 지도를 만드는 드론·드로이드
지도란 시공간에 존재하는 여러 상황을 일정한 약속에 따라 나타낸 것을 말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리적 공간을 축소해 표현함으로써 넓은 지역을 한눈에 알 수 있게 된다. 우리에게 흔히 알려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지형과 교통 요소를 모두 갖춤과 동시에 산줄기와 물줄기를 사실적으로 그려 넣어 조선시대 지표의 기복을 전달하고 있다. 조선 후기에는 간접적이긴 하나 서양의 현대적 지도가 우리나라에 도입됐고, 위성영상지도, 사진지도 등 각종 특수도, 즉 특수한 지도를 제작하기 시작했다.과학과 놀자 (56) 디지털 지도를 만드는 드론·드로이드
과거 항공 촬영으로 지도에 변화한 지형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지도 관련 계획을 세웠다. 이후 항공사진 업체를 선정한 뒤 지도 제작을 하려면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리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요즘은 수년이 걸리던 지도 갱신이 하루도 걸리지 않는다고 한다. 그 이유는 객체 단위 데이터베이스로 전환된 디지털 지도가 탄생했기 때문이다.
건설 현장에서 드론과 같은 다양한 로봇을 사용한 데이터 취득과 취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측량 등은 일부 도입된 상태이나, 시간에 따라 변하는 비정형 데이터가 필요한 건설 현장에 적절한 데이터 취득 및 통합 시스템은 개발해야 하는 상황이다. 레이저 센서를 사용한 현장의 지도제작 기술, 위험 요소 탐지 기술 등은 모두 해외에서 수입해 사용하고 있는 상태다. 현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라이다 센서를 이용한 로컬 맵 통합기술, 현장 토질정보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상용화 단계를 위해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디지털 지도는 또 어디에 쓰일까?디지털 지도는 자율 운영이 가능한 드론 계측시스템(UAV) 및 지상 무빙 플랫폼(UGV)을 통해 취득한 현장 지형정보를 통합해 토공사(대지 조성) 및 포장공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기도 한다. 대부분의 공사작업은 사람이 직접 하고 있어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건과 작업 수행 과정에 관한 실시간 현장 데이터 확보가 어렵다. 이런 건설 현장 정보의 부족은 건설 현장 관리자가 본인 경험에만 의존하게 만들기 때문에 효율적인 건설 현장 운영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건설 현장의 자동화, 인공지능화에 큰 방해물이 돼 4차 산업혁명 흐름에서 건설산업이 다시 한 번 어려움에 빠지는 결과를 낳는다.
건설 현장은 동시다발적으로 굴착, 운반 등 작업이 진행되므로 현장 여건 변화가 매우 크다. 또 강우 및 기온 등 기상 조건 영향이 크므로 공사기간 매우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때 UAV와 UGV로 수집한 3차원 시각정보를 활용하면 지형정보를 안전·신속·정확하게 취득할 수 있고, 공정 진척도와 생산성을 높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UAV와 UGV는 다양한 정보가 복합적으로 연계돼 있기 때문에 연구개발 초기에 이런 정보를 효율적으로 결합, 운영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기억해주세요
![[과학과 놀자] 리튬이 신경세포 보호…퇴행성 뇌질환 막는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705.3.jpg)
![[과학과 놀자] 암모니아 번개·플라즈마 파동…목성의 비밀 밝혔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505.3.jpg)
![[과학과 놀자] 가을비가 전하는 냄새, 미생물이 보내는 메시지](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718.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