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 최저임금
국가가 법으로 강제한 임금 하한선
올해 최저임금은 '시간당 8720원'
헌법에 따라 보장…안 지키면 처벌
근로자·사용자·공익위원 참여하는
최저임금위원회서 해마다 논의
"더 올려라" "감당 못해" 대립 팽팽
국가가 법으로 강제한 임금 하한선
올해 최저임금은 '시간당 8720원'
헌법에 따라 보장…안 지키면 처벌
근로자·사용자·공익위원 참여하는
최저임금위원회서 해마다 논의
"더 올려라" "감당 못해" 대립 팽팽

헌법 32조는 국가가 최저임금제를 시행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저임금 근로자에 최소한의 삶의 질을 보장해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근로자를 한 명 이상 고용했다면 무조건 지켜야 하고, 위반 시 징역형이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 한국에서 최저임금제가 본격 시행된 것은 1988년부터다. 다만 지난 몇 년 동안만큼 많은 사회적 논쟁을 불러온 적은 없었을 것 같다. 2018~2019년치는 인상률이 지나치게 높다며 고용주들이 반발했고, 2020~2021년치는 인상률이 너무 낮아졌다며 노동계가 들고 일어났다. 최근 4년 동안 최저임금 인상률(전년 대비)은 각각 16.4%, 10.9%, 2.9%, 1.5%로 널뛰기를 했다.
최저임금은 매년 근로자 대표 9명, 사용자 대표 9명, 공익위원 9명 등 총 27명으로 구성된 최저임금위원회가 인상안을 의결해 정부에 제출하면 고용노동부 장관이 8월 5일까지 결정해 고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최저임금법 12조를 근거로 설치된 고용노동부 소속기관이다.
2017년 대통령선거에서는 보수·진보를 막론하고 모든 후보가 “최저임금을 1만원으로 인상하겠다”고 공약했다. 최저임금 인상의 취지는 당연히 선한 것이고 대다수가 공감할 일이다. 다만 한 가지 생각해볼 점은, 최저임금은 직접적인 ‘가격 통제 정책’이라는 것이다. 원칙적으로 시장에서 정해져야 할 가격에 정부가 개입하면 순기능과 부작용을 동시에 불러온다.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은 부작용 낳아”사실 연봉이 넉넉한 대기업이나 공기업은 최저임금이 올라도 별 타격이 없다.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사는 중소기업과 자영업자가 문제다. 이들이 흔들리면 아르바이트를 구하는 청년, 50~60대 중장년층, 주부 등의 일자리부터 줄어들 수 있다. 당초 2020년까지 최저임금 1만원을 달성하겠다고 했던 문재인 정부가 공약을 지키지 못한 것도 이런 현실적 제약을 넘지 못했기 때문이다.

임현우 한국경제신문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