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은 명사로 연결된다. 명사가 잇따를 때 많은 경우 중간에 관형격 조사
'-의'를 넣지 않는다. '우리의 소원'이 아니라 '우리 소원'이고, '실력의 향상'이
아니라 '실력 향상'이라고 한다. 작은 차이지만 그게 간결하고 자연스럽다.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정치인 출신의 홍길동'이 어색한 까닭
《혈의 누》는 1906년 나온 우리나라 최초의 신소설이다. 이인직이 ‘만세보’ 주필로 있으면서 연재한 소설인데, 원래 제목은 ‘혈의루’였다. 당시만 해도 한글 맞춤법은 개념도 없었고 띄어쓰기도 잘 몰랐다. 말의 구조는 더 이상하다. ‘혈(血)의 루(淚)’라고? ‘피의 눈물’이란 뜻인데 우리말은 이런 식으로 하지 않는다. 한자어로 한다면 ‘혈루’이고, 순우리말로 하면 ‘피눈물’이다. 그게 우리말다운 표현이다. ‘정치인 출신인 홍길동’이 좋은 표현우리말은 명사로 연결된다. 명사가 잇따를 때 많은 경우 중간에 관형격 조사 ‘-의’를 넣지 않는다. ‘우리의 소원’이 아니라 ‘우리 소원’이고, ‘실력의 향상’이 아니라 ‘실력 향상’이라고 한다. 작은 차이지만 그게 간결하고 자연스럽다. ‘회사의 발전을 위해~’가 아니라 ‘회사 발전을 위해~’ 식으로 말하고 쓰는 게 좋다. 그럴 때 문장성분 간의 연결이 더 긴밀하고 글의 흐름도 빨라진다.

한때 ‘나의 생각’이나 ‘우리의 소원’ 같은 것을 일본어투니 한문 번역투니 해서 쓰지 말자는 주장이 널리 받아들여지던 시절이 있었다. 지난 시절 우리말 진흥을 위해 그런 지적이 필요한 적이 있었고, 실제로 이는 우리 말글 발전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 요즘은 이런 주장에서 조금은 자유스러울 정도는 된 것 같다. 그만큼 우리말에 대한 인식도 커졌고 우리말 자체도 많이 발전했다는 뜻이다. 그보다 더 중요한 본질은 우리말을 건강하게 과학적으로, 경쟁력 있는 언어로 육성하기 위해 ‘-의’ 사용을 줄이자는 데 있다. 이는 우리말다운 모습을 되찾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지금도 조사 ‘-의’를 남용하는 사례는 넘쳐난다. “금융당국이 부동산펀드에 대해서도 ‘과열의 징후’가 있다고 판단해 ‘규제의 잣대’를 들이대기 시작했다.” 이런 문장을 읽으면서 홑따옴표 안의 표현이 아무렇지 않게 느껴진다면 자신의 글쓰기 습관을 돌아볼 일이다. 말로 할 때는 ‘과열 징후’이고 ‘규제 잣대’라고 한다. ‘-의’는 불필요하게 붙여 쓴 군더더기일 뿐, 빼고 나면 문장이 간명하고 구성도 더 긴밀해진다는 게 드러난다. ‘-의’ 남용하면 문장 구성 허술해져관형격 조사 ‘-의’를 남발하다가 비문이 되는 경우도 흔하다. 특히 이 오류는 열에 아홉은 눈치채지 못하고 놓치기 십상이니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경제성장률이 연 3% 미만의 저성장 기조에서는 청년 신규 채용과 고령자 조기퇴직 면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장에서 걸리는 데는 어디일까? 우선 문장 전체의 골자는 뒤에 나오는 ‘문제(주어)가 발생한다(서술어)’이다. ‘경제성장률이 연 3% 미만의 저성장 기조에서는’은 ‘발생한다’를 꾸미는 부사구다. 즉 ‘~저성장 기조에서는 문제가 발생한다’인 것이다. 이 부사구는 다시 ‘경제성장률(주어)이 연 3% 미만인(술어)’이란 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저성장 기조’(명사구)로 구성돼 있다. 그런데 예문에서는 주어(‘경제성장률’)는 있는데 이를 받는 서술어가 명사(‘미만’)로 처리돼서 어색한 것이다. 따라서 ‘미만의’를 ‘미만인’으로, 즉 서술어 형식을 갖춰줘야 온전한 문장이 된다.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정치인 출신의 아무개 장관’ 같은 문구도 흔히 쓰지만 허술하기는 마찬가지다. ‘정치인 출신인 아무개 장관’이 제대로 된 표현이다. 원형 문장을 생각하면 이치가 자명하다. ‘아무개 장관은 정치인 출신이다’라고 한다. 이를 명사구로 바꾼 게 ‘정치인 출신인 아무개 장관’이다. 무심코 ‘-의’로 연결하는 것보다 구성이 안정적이다. 글자 하나 다를 뿐이지만 글의 완성도에는 큰 차이를 가져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