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는 개인과의 계약"이라며 왕권신수설에 도전
홉스와 로크는 '자연상태'를 보는 생각이 달랐죠
자기 마음대로 산다면?홉스와 로크는 '자연상태'를 보는 생각이 달랐죠
왕권신수설을 부인하다
이러한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기 위하여 사회계약론자들은 일종의 ‘사고 실험(thougt experiment)’을 했다. 사고실험이란 어떤 상황을 가정하고, 그 상황 속에서 특정 주체가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해 기술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래서 이들은 만일 ‘자연 상태’, 즉 어떠한 정부나 국가도 없는 최초의 상태를 가정한다면, 그런 전제로부터 이성적인 추리를 통해 어떤 사회나 국가가 도출될 것인가를 생각해보았다. 말하자면 ‘만약 국가가 없다면, 즉 자연 상태에서 사람들의 모습은 어떨까’라는 가정으로부터 합리적인 사회의 모습을 도출하려 했던 것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자연 상태’란, 국가 상태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회 계약을 맺기 이전의 가상적 상태로서, 실제 조사나 연구를 통해 규명해 낸 것이 아니라 논리적인 추론을 통해 가정한 것이라는 점이다.
홉스와 로크의 사회계약설
사회계약설은 당시 지배 계층에게는 사회 질서를 위태롭게 할 위험한 사상이었다. 그렇지만 이 사상은 근대 시민혁명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민주주의의 사상 형성에 기여하였다. 이렇게 보면 권력의 정당성은 국민의 동의에서 나온다거나 국가의 존재 이유는 개인의 생명, 자유, 재산을 지켜주는 데 있다는 등등의 생각이 오늘날 우리에게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것도 다 사회계약설을 제시한 철학자들 덕분이다.
◆생각해봅시다
사회계약설은 당시 지배 계층에게는 사회 질서를 위태롭게 할 위험한 사상이었다. 그렇지만 이
사상은 근대 시민혁명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민주주의의 사상 형성에 기여하였다. 이렇게 보면 권력의 정당성은 국민의 동의에서 나온다거나 국가의 존재 이유는 개인의 생명, 자유, 재산을 지켜주는 데 있다는 등등의 생각이 오늘날 우리에게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것도 다 사
회계약설을 제시한 철학자들 덕분이다.
김홍일 < 서울과학고 교사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체제 변혁의 명분과 이론을 제공한 농민봉기…근대국가·근대국민으로 성숙하는 전기 만들어](https://img.hankyung.com/photo/202305/AA.33457179.3.jpg)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전쟁·전염병·지배층 횡포 등 도탄에 빠진 백성…이상세계 모델 제시한 동학 등장하자 전국 확산](https://img.hankyung.com/photo/202305/AA.33387919.3.jpg)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일본과 협력해 일으킨 정변 '삼일천하'로 끝나…근대 사상의 탄생·근대인의 출현에 공헌 평가](https://img.hankyung.com/photo/202305/AA.33316676.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