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숫자로 읽는 세상
암호화폐 변동성 커지자…다시 빛나는 '안전자산' 金
올 들어 약세를 보이던 금값이 다시 오르고 있다. 인플레이션 우려에 증시가 출렁이고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까지 변동성이 커지면서 전통적 안전자산인 금에 다시 수요가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뉴욕상품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0일 8월물 금 선물은 트라이온스당 1883.90달러에 거래돼 올해 1월 이후 5개월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초 1954달러까지 올랐던 금값은 이후 약세로 돌아서 3월 1678달러까지 떨어졌다. 지난달까지도 1700달...
-
생글기자
인공지능 스마트팜에선 누구나 농부가 될 수 있다
인공지능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해 인간의 학습능력과 추론능력, 지각능력 등을 좀 더 효율적이고 개선된 방향으로 실현하는 기술이다. 외부 환경의 위협 요인에 노출돼 있는 농업 분야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구글은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과일 수확 로봇이나 영양분 혹은 농약의 자동 분사 드론을 연구 중이다. 구글의 연구소인 구글엑스는 인공지능을 통해 식량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패턴으로...
-
생글기자
실패 경험도 나를 성장시키는 자산이다
사람마다 두려워하는 게 하나씩은 있다. 두려움의 유형은 건강, 직업, 인간관계 등 다양하지만 필자는 ‘도전에 대한 두려움’을 말해보고 싶다. 말 그대로 도전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도전을 왜 두려워할까. 생각해 보면 도전을 두려워한다는 말은 틀린 말이다. 우리는 사실 실패를 두려워하는 것이다. 그럼 실패를 두려워하는 이유는 뭘까. 과거의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이 실패를 두려워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쌓아왔던 노력이 물...
-
생글기자
폐업자와 실직자들의 한 줄기 빛 '원금상환유예제도'
코로나19로 많은 자영업자가 가게 문을 닫고, 노동자들이 실직당하고 있다. 폐업과 실직으로 소득이 끊기고 자금 조달은 더 힘들어지고 있다. 이런 사람들을 위해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원금상환유예제도를 내놨다. 원금상환유예제도란 폐업, 실직 등의 이유로 일시적 자금난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최대 3년간 원금 상환을 유예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다. 실직(휴직), 폐업(휴업), 소득 감소, 의료비 과다 지출, 장애, 자연재해 등으로 일정 사유가 발생했을...
-
경제 기타
100년째 반복되는 '금융범죄의 클래식'…폰지 사기를 경계하라
지난달 14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교도소에서 한 82세 노인이 쓸쓸하게 생을 마감했다. 2009년 징역 150년형을 받고 복역 중이던 버나드 메이도프(사진)다. 그는 역사상 최악의 금융 사기로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인물이다. 공식 집계된 피해액만 650억달러, 우리 돈으로 73조원에 달했다. 메이도프는 1970년대 초부터 2008년까지 월 10% 안팎의 고수익을 미끼로 136개국 3만7000여 명에게서 투자금을 모았다. 자신의 이름을 딴 ...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과학에도 경제원리가 작용할까
코페르니쿠스는 폴란드 출신 천문학자 겸 가톨릭 사제였는데 평생 지동설을 연구했다. 코페르니쿠스가 살던 시대에는 망원경이 변변찮아서 육안으로 천체를 관찰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그의 지동설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게 아니라 직관적인 철학에 가까웠고 허점도 많았다. 하지만 그가 지동설에 도달한 과정은 칸트가 훗날 ‘코페르니쿠스의 전환’이라고 명명했듯이 근대과학의 출발점이 되었다. 코페르니쿠스가 천동설에 의심을 품은 것은 지...
-
시네마노믹스
'無출산 재앙' 덮쳐 경제 붕괴된 2027년 영국…생산가능인구 급감 한국 '저출산 난제' 풀 열쇠는
“전 세계는 오늘 ‘지구의 마지막 아기’ 디에고 리카르도의 죽음에 충격에 빠졌습니다. 18년4개월의 생애 끝에 삶을 마감한 ‘베이비 디에고’는 인류가 맞이한 불임이라는 재앙의 상징이었습니다.” 2027년 영국 런던, 시민들은 화면 속 청년의 사진을 보며 오열한다. 인류는 2009년 이후 아기가 태어나지 않는 원인불명의 재앙을 맞았다. 느리지만 확실하게 다가오는 멸종 앞에 인류는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추상적 개념의 틀에 갇힌 '두텁다'
코로나 사태가 길어지면서 정부 재난지원금도 이미 네 차례에 걸쳐 나왔다. 그 과정에서 나온 정부·여당의 “더 넓게, 더 두텁게” 발언은 주목할 만하다. 단어 사용의 적절성을 두고 논란을 일으켰다는 점에서 그렇다. 발언 맥락은 이랬다. “받는 액수도 더 높여서 ‘더 넓게 더 두텁게’가 동시에 이뤄질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일부 언론 보도는 달랐다. ‘더 두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