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교양 기타
돈을 알아야 세상을 살 수 있다
40대 조기 은퇴를 꿈꾸는 ‘파이어(FIRE)족’이 많아졌다. 이들은 빨리 은퇴하고 자신만의 삶을 개척하기 위해 20대부터 소비를 줄이고 은퇴자금을 저축하려 애쓴다. 100세 시대를 살려면 많은 자금이 필요할 테니 저축과 함께 올바른 금융지식을 갖는 게 좋을 듯하다. 《금융지식으로 부자되기》는 돈을 알아야 세상을 살 수 있다고 일깨우면서 세계사의 주요 사건들을 통해 세상 바라보는 눈을 넓혀주는 책이다. ‘개인이...
-
영어 이야기
~ly로 끝나면 다 부사 아니었어?
Journalism or what is often called the news business the gathering, the processing, and delivery of important and interesting information and developments by newspapers, magazines, or broadcast media is inextricably entangled in that giant, whirling ...
-
생글기자
누구를 위한 '아이템 위너' 제도인가
쿠팡의 최저가에 대한 비밀을 아는가. 그 비밀을 알려면 ‘아이템 위너 제도’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쿠팡의 아이템 위너 제도란 쿠팡에 올라온 같은 상품 중 가장 저렴한 상품을 최상단으로 노출시켜 판매자 간 최저가 경쟁을 유도하는 제도다. 쿠팡은 최저가 판매자 ‘위너’가 판매하는 제품을 쿠팡 검색창 최상단에 노출을 시켜주고 이전 위너였던 전 판매자에게 누적된 상품의 사진과 후기, 상품평, 문의 글 등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千里眼 중국 위나라 광주 관청 앞이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관원이 놀라 물었다. “대체 무슨 일로 이리 소란이오?”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답했다. “오늘 관청 창고를 열고 저장된 곡식을 나눠준다고 들었소. 연속된 흉년으로 가족들이 모두 굶어죽을 지경이오.” 관원이 말도 안 된다며 손사래를 쳤다. “관청의 창고를 연다고? 누가 그런 황당한 소리를 했소?” 그때 뒤에서 점잖은 목소리가 들려왔다. “내가 그랬네.” 얼마 전 광주 지사로 부임한...
-
경제·금융 상식 퀴즈
경제·금융 상식 퀴즈<710>
1 경기가 불황기, 회복기, 호황기, 후퇴기를 반복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것은? ①낙수효과 ②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③경기순환 이론 ④롱테일 법칙 2 정부가 자동차에 부과되는 '이것'의 인하조치를 연말까지 연장한다. 고가 사치품 등 특정 물품에 붙이는 이 세금은? ①양도세 ②주민세 ③개별소비세 ④죄악세 3 세금이 완전히 면제되거나 매우 낮은 세율을 적용하는 국가 또는 지역을 뜻하는 말은? ①프롭테크 ②페이퍼컴퍼니 ③택스 헤이븐 ④카피캣 4 기업의 ...
-
테샛 공부합시다
마찰적 실업
[문제] 다음 실업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근로자들이 마음에 드는 일자리를 얻기 위해 옮겨다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업 ① 이러한 실업 유형은 마찰적 실업이다. ② 완전고용 상태에서도 이러한 실업은 나타난다. ③ 탐색적 실업이라고도 하며, 경제의 윤활유 같은 역할을 한다. ④ 산업구조 개편 등 경제구조의 변화가 이러한 실업을 늘린다. ⑤ 정부는 일자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망의 확충으로 이러한 실업을 줄일 수는...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인류 최초의 교역품은 비너스와 칼이었다
2008년 9월 독일 슈바벤 지역 펠스 동굴에서 3만5000년 전의 매머드 이빨에 조각된 비너스 상이 발견됐다.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조각품에 세간의 이목이 쏠렸다. 사실 비너스 상이라고 불리는 여인의 나체상은 문자가 없던 석기시대의 문명 교류와 인류의 장거리 이동을 증명하는 대표적인 유물이다. 구대륙 각지에서 발견되면서 선사시대의 글로벌화한 문화교류의 흔적으로 꼽힌다. 19세기 말엽부터 서유럽과 동유럽, 시베리아의 여러 곳에서 후기 구석기...
-
커버스토리
100% 늘어난 상어 공격?…실제론 2→4건으로 증가
통계는 숫자로 표현된 과거입니다. 미래에 대한 통계가 있을 수 없는 이유죠. 통계가 중요한 이유는 통계를 통해 과거의 패턴을 살펴보고 모형화해서 미래를 짐작해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통계는 있는 그대로 산출돼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당국이 경제성장률이나 실업률 통계를 낼 때 관련된 숫자를 편의에 따라 부풀리거나 줄인다면, 우리는 그 통계를 믿지 못합니다. 잘못된 통계는 잘못된 해결책을 내게 되고 결국, 통계 하나가 국가의 자원을 불필요하게 소모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