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돈이 돈을 벌어오는 방법, 주식투자를 배워봅시다
안녕하세요, 한국경제신문 <주코노미TV>의 진행을 맡고 있는 ‘주코’ 한경제 기자, ‘노미’ 나수지 기자입니다. 작년부터 시작된 주식투자 열풍으로 우리나라에서 주식에 투자하고 있는 사람이 거의 1000만 명에 육박했다고 합니다. ‘나만 주식 안 하는 걸까?’ ‘주식에 대해 하나도 모르는데 어떡하지?’ ‘학생인데 주식에 투자해도 될까?&rs...
-
테샛 공부합시다
과도한 통화량 증가는 다양한 부작용을 낳아요
요즘 뉴스나 신문을 보면 국가가 현금을 얼마 주겠다는 정치인들의 공약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엔 정부가 소득 하위 88%의 국민에게 국민지원금을 1인당 25만원 지급하기도 하였습니다. 모두 제대로 된 재원 마련 계획은 보이지 않고 돈을 주겠다는 달콤한 속삭임만 보내고 있습니다. 목적은 단순합니다. 소득 격차를 해결하고, 침체된 경기를 살리는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 그런데 여러분은 이런 생각이 들지 않을까요? “돈만 풀어서 경제가 살아...
-
과학과 놀자
일부 화학물질, 호흡곤란 등 부작용 불러…안전성 확보 힘써야
일상생활 중 반드시 필요한 의식주 속에는 우리도 모르게 노출되고 있는 요소들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생활 속 화학물질이다. 고등학교에 다니는 김생글 학생의 아침 일과를 간단히 살펴보자. 생글이는 기상 후 등교 전 양치(향균제: 트리클로산, 보존제: 파라벤류)를 하고, 간단하게 아침 식사로 프라이팬(코팅제: 과불화화합물)에 계란 프라이를 만들어 먹었다. 세탁소에 드라이클리닝(유기용제: 유기염소화합물) 맡겼던 옷을 꺼내 입고 집을 나선 생글이는 문...
-
디지털 이코노미
독점은 소득 불평등 뿐만 아니라 혁신도 가로막아
자본주의 경제체제는 경쟁에 의존한다. 경쟁은 기업을 정직하게 만들고, 고용 기반을 확대하고, 혁신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생산성이 인접 분야로 확대되도록 만들고, 사회 모든 구성원이 자기 재능을 활용해 생계를 유지할 기회를 제공한다. 경쟁은 경제를 보호하고, 민주주의가 유지·발전하도록 돕는다. 경쟁이 존재하는 한, 어느 한 기업이 모든 권력을 장악할 만큼 충분히 몸집을 키우지 못하기 때문이다. 최소한 이론적으로 반박할 수 없다. ...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군사력·상업에 문화·종교까지 결합한…청해진 바다 영토 확대하며 신라 사회개혁 의식 높여
장보고와 청해진 체제는 무장력과 해양력을 바탕으로 동아지중해의 운송업, 삼각중계무역, 보세가공업을 운영했고 문화교류와 이데올로기 통합도 주도했다. 자치권과 상업활동, 세금 혜택 등이 보장된 느슨한 경제특구에 해당할 수 있다. 장보고는 천민도 왕족이 될 수 있다는 사회 개혁의식을 확산시켰다. 9세기에 들어와 동아시아에는 평화의 시대, 경제의 시대, 무역의 시대가 도래했다. 아라비아까지 이어지는 해양 실크로드, 동로마까지 연결된 사막 실크로드와 ...
-
시네마노믹스
'퍼스트 펭귄'이 만든 스마트폰의 편리함…'불연속적 혁신'이 낳은 강력한 혜택
영화 ‘완벽한 타인’의 주인공인 석호(조진웅 분), 태수(유해진 분), 준모(이서진 분), 영배(윤경호 분)는 배우자끼리도 친밀하게 지내는 40년 지기 초등학교 동창생이다. 이혼한 영배와 배우자까지 함께 일곱명이 석호의 집들이에 모여 저녁을 함께 하다가 각자의 휴대폰을 식탁위에 올려 모든 것을 공유하자는 게임이 시작된다. 오래지 않아 스마트폰 전화와 메지시를 통해 인물들의 비밀이 드러난다. 드러내지 않으려고 애써왔던 부부간...
-
교양 기타
실전에 강한 챔피언과 책으로 공부한 천재의 대결
서양 장기로 불리는 체스는 가장 오래된 보드게임이다. ‘차투랑가’라는 인도의 게임이 유럽에 전해진 뒤 15세기에 국제 규칙이 확립되었다. 해마다 주니어선수권대회를 비롯한 다양한 세계대회가 열리고, 경기 인구가 수억 명에 이를 정도로 인기 높은 두뇌 스포츠다. 중편소설 《체스 이야기》 속 체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어떤 책이나 작품보다 영속적이며, 모든 민족과 모든 시대에 속하는 유일한 게임이면서도, 지루함을 죽이...
-
대학 생글이 통신
소홀해지기 쉬운 3학년 2학기 내신 잘 관리하세요
수시 원서를 모두 제출한 이후 지원한 수시전형 일정에 따라 논술, 면접 등을 준비하면서 자연스럽게 3학년 2학기 내신을 신경 쓰지 않는 학생이 대다수입니다. 대부분의 학생부종합전형과 교과전형에서 3학년 1학기까지의 성적만 반영하기 때문에 첫 입시를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3학년 2학기 내신은 당장 중요하지 않게 느껴질 것입니다. 하지만 수능 성적보다 내신 성적이 좋은 학생들과 수시로 반수 또는 재수를 생각하는 학생에게는 3학년 2학기 내신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