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경제 기타
2020 열심히 활동한 '으뜸 생글기자' 뽑았어요!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는 2020 생글기자 가운데 뛰어난 활동을 펼친 학생기자를 ‘2020 으뜸 생글기자’로 선정했습니다. 2020년 2학기부터 2021년 1학기까지 1년 동안 생글생글 지면에 게재된 기사 수를 기준으로 선정했습니다. 박민우 생글기자(동성고 3학년)는 이 기간 16건의 기사를 게재하는 남다른 성실함을 보여줬습니다. 궁호영 생글기자(일산국제컨벤션고 3학년)는 9건, 송정효 생글기자(대전신일여고 3학년)는 ...
-
숫자로 읽는 세상
韓 모바일게임 지출 '세계 1위'…이용자 90% 이상이 MZ세대
한국 모바일 게임 이용자의 1인당 게임 지출액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모바일 게임 이용자의 90% 이상은 ‘MZ세대(밀레니얼+Z세대)’였다. 글로벌 모바일 플랫폼 조사업체인 앱애니는 이 같은 내용의 ‘2021년 상반기 모바일 게임 결산’ 보고서를 최근 내놨다. 국내 스마트폰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준으로 올 상반기 기기 1개당 게임 소비 지출액은 월평...
-
과학과 놀자
지구상 모든 생명체가 의존하는 태양광 에너지…기후변화 촉발하는 과도한 화석연료 사용 경계해야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우리의 건강에 직접 영향을 주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가 많이 논의되다가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산불, 폭우, 폭염 등 이상 기후가 이슈가 되고 있다. 이상 기후의 원인으로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따른 기후 변화가 지목되고 있다. 기후는 대기의 온도, 바람, 비, 눈을 모두 아우른다. 태양광으로 대기가 가열되고, 지표에서 물이 증발해 구름이 되고, 대기압의 차이로 생긴 바람을 따라 이동한 구름이 다시 비와 눈이 되어...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0월 4일 (724)
1. 해외에 나가 있는 자국 기업에 각종 세제 지원, 규제 완화 등의 혜택을 제공해 자국으로 돌아오게 하는 정책을 가리키는 말은? ①리디노미네이션 ②리커플링 ③리파이낸싱 ④리쇼어링 2. 2005년부터 16년간 독일 총리였던 이 사람이 퇴임했다. ‘무티(mutti·엄마) 리더십’을 선보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이 여성 정치인은? ①카멀라 해리스 ②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③재닛 옐런 ④앙겔라 메르켈 ...
-
경제 기타
2021 생글생글 학생기자 합격을 축하합니다
2021년 2학기 생글생글 학생기자에 합격한 제17기(가을) 고교 생글기자와 제10기(가을) 중학생 생글기자 여러분, 축하합니다. 생글기자는 자신의 학교와 지역 소식뿐 아니라 국내외 경제, 사회, 문화, 이슈 등 다양한 분야의 글을 써 생글생글에 게재할 수 있습니다. 생각하는 힘과 글쓰기 실력을 키울 수 있는 더없이 좋은 기회이자 경험이 될 것입니다. 또한 생글기자 활동을 마치고 SKY(서울·고려·연세대) 등 주요 대...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당나라의 서역 정벌 영웅, 고선지 장군…고구려 출신 병사들과 파미르 고원 넘어
지칠 대로 지친, 수 백 명의 당나라 군인들이 3일 동안 고산을 진군한 끝에 마침내 힌두쿠시(興都庫什) 산맥의 탄구령(坦駒嶺) 정상에 도달했다. 고선지 장군의 군대는 까마득하게 보이는 계곡을 내려가 현재의 키르키트인 소발률국(小勃律國)의 수도를 점령했다. 불가능을 가능케 한 세계 전사에 길이 빛나는 작전이었다. 당나라를 압박한 토번과 사라센 제국 당나라는 내우외환에 시달렸다. 국제적으로도 매우 불안정한 처지에 놓여 있었다. 숙적인 투르크(돌...
-
시네마노믹스
"시터 이모님 월급 주고 나면 남는 게 없어"…일하고 싶은 '지영이'는 그렇게 경단녀가 된다
1982년에 태어난 김지영(정유미 분)은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홍보회사에 다녔다. 정대현(공유 분)과 만나 결혼해 딸 아영을 낳은 뒤에는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육아와 살림을 전담하게 된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지영은 가끔 다른 사람으로 돌변한다. 명절날 시댁에서 시어머니를 ‘사부인’이라고 부르는 친정엄마가 됐다가, 한밤에 맥주캔을 따며 ‘지영이한테 잘하라’는 대현의 결혼 전 애인이 된다. 2019년 개...
-
진학 길잡이 기타
의대 연세대·치대 서울대·한의대 상지대가 작년 '정시 합격선' 1위
자연계 최상위 학생이 지원하는 의치한의대 및 수의대는 1점 차이로 대학이 달라질 정도로 경쟁이 치열하다. 의학계열 입시에서 전년도 입시 결과는 중요한 참고 자료다. 입시 결과로 전국 의대 순위를 알 수 있다면 지원 전략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대학 공식 발표자료인 ‘어디가’ 발표 정시 입시 결과를 기준으로 전국 의치한수의대 순위를 분석해본다. 의대, 2020학년도 서울대·연세대 공동 1위,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