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대학 생글이 통신
국어 경제관련 지문 대비 생글생글 틈틈이 읽어라
의학·이공·자연계열에 진학을 희망하는 독자 여러분께 작은 도움이 되고자 수능 날의 생생한 기억을 되살리며, 수능 공부법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수능 시험의 시작인 국어 영역은 1교시인 만큼 긴장감이 동반됩니다. 국어 영역에서 승기를 잡으면 이후의 시험에서도 자신감이 붙을 겁니다. 이를 위한 국어 공부의 핵심은 ‘꾸준함’입니다. 국어 영역에서 요구하는 것은 크게 독해력과 문제 해결 능력입니다. ...
-
대입 전략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정시 선발비중 40% 넘어…7000여명 뽑는 의약학계열 지역인재 비중 확대
현 고2가 대입을 치르는 2023학년도부터 주요대 중심으로 수능이 중요한 정시가 40% 이상 확대된다. 2023학년도 대입 특징 및 전략에 대해 소개한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발표 전형계획안 기준 2023학년도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SKY의 정시 선발인원은 총 4761명(41.3%)에 달한다. 고려대의 정시 선발인원이 1709명(40.0%)으로 가장 많고, 연세대 1639명(43.3%), 서울대 1413명(40.7%) 순이다. ...
-
테샛 공부합시다
빠르게 변화하는 국제 통상 환경…한국의 대처는?
테샛(TESAT)을 공부할 때 수험생이 가장 까다로워하는 영역이 시사경제다. 시사 영역은 시시각각 이슈가 달라지고 범위가 넓은 편이다. 따라서 수험생은 생글생글 테샛 면에 주기적으로 게재되는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를 활용해 공부하는 것이 유익하다. ○쿼드러플위칭데이(Quadruple Witching Day)= 주가지수 선물·주가지수 옵션·개별주식 선물·개별주식 옵션 등 네 가지 ...
-
키워드 시사경제
1월 효과 연초에 주가가 오르는 현상…올해는 어떨까
“올해는 운동을 더 열심히 해야지.” “올해는 가족들한테 더 잘해야지.” 새해 첫날이면 많은 사람이 남다른 각오를 되새기며 신발 끈을 다시 조여 맨다. 주식 시장에는 ‘1월 효과(January effect)’라는 말이 있다. 1월의 주가 상승률이 다른 달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사실 합리적 근거가 있는 이론이 아니라 ‘대체로 그렇다더라’는 일종...
-
커버스토리
메타버스·암호화폐…미래기술의 세계로
“학생은 자기소개서에 《메타버스》라는 책을 재미있게 읽었다고 썼군요?” “그렇습니다. 페이스북을 창업한 저커버그가 회사 이름을 메타로 바꿨을 정도로 메타버스는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았습니다. 미래에 우리는 기술 발달로 인해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구분하기 어렵게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메타버스 김상균 강원대 교수가 쓴 메타버스 입문서입니다. 메타버스에 관해 알아야 할 것을 이 책을 ...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감사의견 거절·2년 연속 매출 미달 땐 거래 중단되죠
주식 투자자에게 상장폐지는 가장 무서운 단어입니다. 내가 투자한 주식을 더 이상 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게 된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내가 투자한 주식도 상장폐지될 수 있을까요? 어떤 주식이 상장폐지될까요? 또 상장폐지를 피할 방법은 없을까요? 상장폐지되는 주식의 조건 상장폐지는 주식시장에 상장한 회사의 상장이 폐지돼 주식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게 되는 상태를 뜻합니다. 내가 보유한 주식을 더 이상 주식시장에서 팔 수 없고, 장외시장에...
-
과학과 놀자
탄소중립 실현 위해 노후 건물 '그린 리모델링' 필요
녹색건축이라고 하면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할까. 아마도 풀이 우거지고, 나무가 자라며 물이 흐르는, 말 그대로 녹색의 자연환경을 가진 건축물을 생각하거나 태양광, 풍력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친환경적인 건축물을 생각할 수도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으로 녹색건축은 에너지와 온실가스, 건강 등 다양한 측면을 담고 있다. 정부에서는 녹색건축물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에너지 이용 효율 및 신재생에너지의 사용 비율...
-
디지털 이코노미
성장 공식 없지만 인적자본 투자는 확실한 밑거름
경제 성장의 근본 메커니즘은 아무도 알지 못한다. 수세대에 걸쳐 많은 경제학자가 진지한 노력을 기울이고 노벨상을 받는 영예도 누렸지만, 그 누구도 부유한 나라에서 다시 성장이 이뤄질지, 그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 미국의 성장이 끝났다고 주장하는 로버트 고든 교수나 그렇지 않다는 조엘 모키어 교수의 주장에 누구도 반박하지 못하는 이유다. 성장을 둘러싼 상반된 의견 경제학자 로버트 고든은 그의 책 《미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