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붕어빵 찍듯 수많은 법이 너무 쉽게 '뚝딱'…20대 국회서 제안된 법률안만 2만1384건
“쓸데없는 법안이 너무 많이 제출돼요. 법 같지도 않은 법들이 2만몇 건이나 되고. 새 법률안을 처리하기 버겁습니다.” 20대 국회(2016~2020년) 사무총장을 지낸 유인태 씨는 2019년 국회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옳고 그름을 떠나서 법률안 건수가 너무 많아 사무처 직원들이 진땀을 흘린다고 하소연한 겁니다. 너무 많이 만들어지는 법 통계를 들여다봅시다. 15대 국회 806건, 16대 국회 1651건, 17대 국회...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공시는 기업의 재무상태 등 주요사항 알리는 것...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주식에 투자하려면 기업의 속사정을 속속들이 알아야 합니다. 어떤 사업을 하고 있는지, 과거에 이 사업으로 얼마나 돈을 벌었는지, 앞으로는 어떤 사업을 할지…. 하지만 기업의 속사정을 일반투자자들이 알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상장사는 투자자가 알아야 하는 내용을 ‘공시’로 알립니다. 투자의 기본, 공시 읽기 공시는 상장기업의 의무입니다. 만약 기업이 정해진 시기에 제대로 된 공시를 하지 않으면 한국거래소가 불...
-
사진으로 보는 세상
매주 금~토요일은 서울광장서 책 읽으세요!
서울시는 ‘세계 책의 날’인 지난 23일부터 매주 금~토요일 책 읽는 서울광장을 조성해 열린 야외 도서관을 운영 중이다. 이에 앞서 작업자들이 서울광장 단장을 새로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영어 이야기
돈을 버는 건 make money, 큰돈을 버는 건 rake in
Mirae Asset Venture Investment Co. is forecast to rake in more than 400 billion won($325 million) for its investment in Moloco Inc. Mirae Asset poured 13 billion won in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powered mobile ad solutions provider and expects t...
-
과학과 놀자
인공위성에서 내려다본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
과천과학관과 함께 하는 과학 이야기 (9) 길을 걷다 보면 리어카를 끌며 폐지를 줍는 어르신들을 가끔 본다. 힘겹게 폐지를 주워 담는 모습이 안타까울 때가 많다. 얼마 전 한 방송에서 이와 관련된 뉴스를 봤다. 폐지를 줍는 노인들의 리어카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를 붙여 이 분들의 생활을 분석한 내용이었다. 10명을 조사한 결과 노인들은 리어카를 끌고 하루평균 13㎞를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대가...
-
오철 교수의 복싱 경제학
'배고픈 복서'는 챔피언이 될 수 없다, 이유는?
외환위기가 발생하기 3개월 전인 1997년 8월에 개봉한 '넘버3'라는 영화(송강호·한석규 주연)에 이런 대사가 나온다. “니들, 한국 복싱이 왜 잘 나가다가 요즘 빌빌대는지 아나? 다 이 헝그리 정신이 없기 때문에 그런 거야, 헝그리 정신이.” 정말 최근 한국 복싱에서 세계 챔피언이 사라진 이유가 헝그리 정신이 없어졌기 때문일까? 1960년대 대한민국은 가난한 후진국이었다. 당시 우리 부모님들...
-
생글 학습·진로 기타
기준금리
[문제1]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인상한다고 가정하자. 기준금리 인상으로 미국이 기대하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수입의 증가 (2) 단기자본의 유입 (3) 달러화의 평가절상 (4) 미국 상품의 가격경쟁력 약화 (5) 원자재 수입물가 상승으로 미국 국내 물가 상승 [해설]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미국의 시장금리가 오르고, 미국의 고금리를 탐낸 글로벌 자금이 미국으로 이동한다. 즉, 미국으로 자본이 유입된다. 자본...
-
시사·교양 기타
'돈의 가격' 금리…올리면 정말 물가·집값이 잡힐까
금리 혹은 이자의 역사는 생각보다 오래됐다. 기원전 4000년경 수메르 문명에 이미 이자에 대한 개념이 있었다. 기원전 18세기 고대 바빌로니아의 함무라비 법전에도 곡물과 은을 빌려줄 때 얼마의 이자를 받으라는 내용이 있었다. 성경에도 이자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 경기를 살릴까, 물가를 잡을까 금리는 돈을 빌린 데 대한 대가다. 물건을 살 때 돈을 내듯이 돈을 빌려 쓸 때도 일정한 값을 치른다. 물건에 가격이 있는 것처럼 돈에는 금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