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게임 캐릭터에 생동감 불어넣는 3D 모델러
로스트아크(LOSTARK) 캐릭터 제작한 스마일게이트 강석민 파트장 게임은 10대는 물론 2030세대에서도 인기 있는 취미다. 학생들은 학업 스트레스에서, 직장인들은 업무 스트레스에서 잠시 벗어나기 위해 게임을 찾는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활동이 늘어나면서 게임 산업은 나날이 성장하고 있다. 게임은 K-POP을 시작으로 한류 바람을 등에 업은 ‘K 시리즈’의 대표 분야로도 꼽히고 있다. 하나의 게임이 나오기까지는 ...
-
커버스토리
잘사는 나라에는 '선택할 자유'가 있다
《선택할 자유(free to choose)》라는 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경제 서적을 잘 읽지 않는 한국 독서계에서 매우 이례적인 ‘사건’이죠. 《선택할 자유》는 1976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1912~2006)이 펴낸 책이랍니다. 40년도 더 된 책이죠. 《선택할 자유》가 왜 뒤늦게 필독서 목록에 오른 걸까요? 윤석열 당선인이 지난 대통령선거 때 이 책을 읽고 자유시장경제 신봉자가 됐다고 말...
-
커버스토리
정부가 간섭할수록 경제는 망가져요 자유시장경제가 '부자 나라' 만든다
만약에 어떤 상점 주인이 고객에게 다른 상점보다 질이 좋지 않고 값이 비싼 상품을 판매한다면 고객들은 그 상점을 이용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동시에 그 상점 주인이 고객의 욕구를 충족지 못하는 상품을 판매한다면 고객은 그 상품들을 구입할 리 없을 것이다. 따라서 상인들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소비자의 욕구를 채워줄 수 있고 그들에게 환심을 살 수 있는 상품을 준비해서 거래하기 마련이다. 소비자가 어떤 상점에 들어갔을 때, 물건을 사야 한다고 강요...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민족 간 충돌·구성원 간 갈등이 판치는 시대…단군신화는 조화·합일 통한 상생 사상 추구
일연은 《삼국유사》 첫머리에 ‘고조선(왕검조선)’ 조항을 세 부분으로 구성해 기록했다. 1부와 3부는 역사 서술의 형태고, 2부는 ‘석유환인(또는 석유환국) 호왈 단군왕검’인데, 24개의 신화소를 이용해 치밀하게 논리를 구성했다. 필자는 이 신화에 담긴 논리와 사상을 분석해서 세 가지로 정리했다. 첫째, 천손의 후손이면서 농경문화를 선택한 집단이라는 자의식을 선언했다. 원조선의 성립과 우리 문화의 근...
-
시네마노믹스
근로시간 못채워 주거 보조금 수령 실패…엄마 헬리, 결국 딸 위해 도둑질까지
“이번주 방세 아직 못 받았어요.” “몰라서 안 줬겠어요?” 또 방세가 밀린 엄마 헬리는 초조해진다. 주거 보조금을 받기 위해 복지센터를 찾지만 필요한 근로시간을 채우지 못했다며 거절당한다. “헬리, 미안하지만 보조금 못 줘요. 제발 주 30시간 이상 일하는 직장을 찾아봐요.” 빈곤 완화정책의 대표적 부작용 중 하나는 수혜자의 근로 의욕을 꺾는다는 것이다. 예컨대 최저생활 수준을...
-
대입 전략
전국 113개 대학 정원 내 1만59명 선발…SKY 등 서울권에선 957명 뽑을 예정
전국 4년제 대학 중 2023학년도에 간호학과를 선발하는 곳은 113곳에 이른다. 정원 내 총 1만59명 규모다. 서울권 소재 대학 중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중앙대, 경희대, 이화여대 등 주요대를 포함해 12개 대학에서 957명을 모집한다. 수도권은 아주대, 인하대, 가천대(메디칼) 등 13개 대학에서 967명을 선발한다. 거점국공립 10개교에서 849명을, 78개 지방권 대학에서 7286명을 계획하고 있다. 대학별로는 경동대...
-
사진으로 보는 세상
봄 맞은 대학 캠퍼스
완연한 봄 날씨가 이어진 7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학생들이 벚꽃을 촬영하며 봄을 만끽하고 있다. 뉴스1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두 변수의 조합들과 그중 하나의 조합, 그래프 이해의 첫걸음
<그림> 글을 읽으며 그래프를 그리는 것이나 그래프를 글로 표현하는 것도 국어 능력이라 했다. 이 문제는 그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전형적인 문제다.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글의 내용과 그래프를 연결하며 메모하는 것이 중요하다. 철수 샘의 메모는 다음과 같다. 메모에서 그래프 AB를 ‘(공, 사)예산선’이라 한 것은 흔히 좌표를 (x, y)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리고 선호를 기호 I, I가 아니라 그래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