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네티즌 소문타면 홍보는 걱정마세요"
'인터넷글 퍼가기(퍼뮤니케이션)'를 이용해 제품 홍보 효과를 극대화하는 신종 마케팅 기법이 전 세계 산업계에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브랜드와 관련해 실제로 발생한 뉴스는 물론 소설 주인공에 관한 가상의 뉴스,신제품을 주제로 한 동영상 등 일단 재미만 있으면 광고는 네티즌들이 알아서 해주기 때문이다. 퍼뮤니케이션으로 불리는 이같은 현상을 두고 USA투데이는 "인터넷판 구전(word of mouth)효과"라고 말했다.전통적인 광고에 비해 비용은 적...
-
왜 유행하나… 블로그등 1인 미디어 확산때문
퍼뮤니케이션은 '펌'(인터넷 사이트에서 글이나 그림 등을 퍼오는 것)과 '커뮤니케이션'의 합성어다. 최근 1~2년 사이에 미니홈피나 블로그가 '1인 미디어'로 발전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세계 어느나라 가릴 것 없이 동시에 나타난 글로벌 트렌드다. 그러나 이 같은 현상은 인터넷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퍼뮤니케이션이라는 용어도 한국에서 '콩글리시'로 정착되고 있다. 굳이 영어로 표현하자면 '복사해서 다시 보여준다'는 의미인 '스크...
-
경제 기타
광개토대왕의 숨결은 살아있다
뜬금없이 평강공주 꿈을 꾸느라 늦잠을 잤다. 문화탐방을 앞두고 한동안 잊고 지내던 고구려 역사책을 읽다 잠이 들었나 보다. 늦잠을 잔 데다 공항 집합시간이 30분이나 앞당겨졌다는 사실에 나는 날쌘돌이가 돼야 했다. 평강공주는 어디에 있을까? 괜히 평강공주 생각을 하며 미소를 지었다. 요즘 여자들은 신데렐라를 꿈꾸는 대신 평강공주가 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는데,이유인즉슨 말 잘 듣고 고분 고분한 바보온달이 신랑감으로 결코 나쁘지 않다나 어쨌다나....
-
학습 길잡이 기타
경기부양 했더니 형편이 더 어려워져?
우리는 지난 몇 차례의 설명을 통해 '국제관계를 고려하면 어떤 경제적 변화가 반드시 이론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지 않는다'는 것을 보아왔다. 근린궁핍화 역시 오늘날 한 국가의 경제가 다른 나라와의 관계를 무시하고 운영될 수 없다는 현실을 잘 보여준다. 지역통합,환율변동,무역전쟁과 같은 말들은 더 이상 경제학 교과서의 한 구석에 가려 있는 용어가 아니다. 컴퓨터의 발달에 의한 세계적 통신망의 구축은 국가 간의 경제적 작용과 반작용...
-
학습 길잡이 기타
'사이시옷'의 비밀
'기발,바줄,해발,내가,코등,해볕,내물,홰불,회수.' 북한의 인민학교(초등학교)와 고등중학교(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뽑은 단어들이다. 이것들을 우리식으로 적으면 각각 '깃발,밧줄,햇발,냇가,콧등,햇볕,냇물,횃불,횟수'가 된다. 우리가 '만둣국/만두국''최댓값/최대값' 따위의 말을 두고 규범 표기와 시각적 어색함 사이에서 고민하는 동안 북한에서는 아예 사이시옷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했다. 1966년 남한의 격인 을 제정...
-
경제 기타
정부-재계, 기업 투자부진 원인 공방
한덕수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이날(28일) 전국경제인연합회 하계 포럼에 참석,"현재 대기업이 보유한 현금이 70조원 정도로 파악되고 있다"며 "이 자금이 투자로 이어지지 않으면 잠재성장률(5%) 수준의 성장은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부총리는 그러나 이 같은 '투자기피 증후군'의 원인을 정부의 규제 탓으로 돌리는 시각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업들이 성명서 등을 통해 정부를 비판하는 행위 등은 성과를 내는 데 효과적이지...
-
경제 기타
'하늘을 나는 배' 시속 500km로 쌩쌩
사람들이 바다를 사이에 둔 나라로 이동하려면 어떤 교통수단을 이용할까. 아마도 비행기를 타는 경우가 가장 많을 것이고 가까운 나라는 배로도 이동할 것이다. 바다가 없이 여러 국가들이 국경을 맞대고 있는 유럽에서는 자동차나 기차를 통해 다른 나라로 갈 수도 있다. 그 외의 교통수단은 없을까. 현재까지는 분명히 없다. 그러나 가까운 미래에는 하나 더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하늘을 나는 배'인 위그선의 역사는 3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
-
경제 기타
어떻게 움직일까
위그선의 기초 원리인 지면 효과(ground effect)는 '물 속에 있는 날개는 수면에 근접할수록 효율이 떨어지는 반면 수면 위에 있는 날개는 수면에 가까워질수록 효율이 향상된다'는 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다. 수면 위 날개는 수면에 가까워질수록 양력(날개 아래에서 날개를 떠받치는 힘)을 더욱 많이 받지만 저항은 그다지 증가하지 않는다. 위그선이 가장 큰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이론적으로 수면 바로 위에 바짝 붙어서 운항해야 한다. 그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