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논술 짱들 다 모여라
제5회 생글 논술 경시대회 5월 25일 개최 4월 14일부터 생글 홈페이지에서 접수 국내 최대의 고등학교 논술대회인 생글 논술대회가 올해도 5월에 열린다. 5월 24, 25일 전국의 각 고등학교와 서울 건국대학교(개인)에서 치러진다. 2006년 처음 실시된 후 매회 3000~4000명이 참가신청은 4월14일부터 생글 홈페이지( www.sgsgi.com )를 통해 받는다. 생글 논술대회는 국내 최대의 논술 대회로서 자신의 논술 실력을...
-
학습 길잡이 기타
37. 언어에 낀 거품 하나 '특·초'
초 대박 세일???? 짧은 치마를 입은 여자들이 길거리에서 경찰관과 쫓고 쫓기는 숨바꼭질을 한다. 붙잡힌 여자들은 여지없이 30㎝ 자를 든 경찰관에게 무릎을 내보여야 하고, 경찰관은 무릎 위 치마 길이를 신중히 잰다. 1970년대 유신시대에는 이런 '해괴한' 일이 백주대로에서 종종 벌어졌다. 당시 있었던 경범죄 처벌법에 따른 미니스커트 단속 때문이었는데, 기준은 무릎 위 20㎝였다고 한다. 요즘은 길거리에서 미니스커트는 흔한 것이고 ...
-
학습 길잡이 기타
논제의 보물창고 고전수필 실전논술
8. 김만중 '서포만필(西浦漫筆)' 책을 읽으면 지식과 정보도 얻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고,나아가 삶의 의미나 세계의 원리를 깨달을 수도 있기에 독서를 강조한다. 그렇다면 과연 책을 많이 읽은 사람은 책을 안 읽은 사람보다 더 많은 삶의 진리와 깨달음을 얻었다고 볼 수 있을까? 아니면 책을 읽지 않고도 직접체험을 통해 삶의 진정한 의미와 진리를 깨우치고 지혜를 얻을 수 있을까? 다음 제시문을 읽고 이 문제에 대해 깊이 있...
-
학습 길잡이 기타
유경호의 자·수·전 ④
자연계 수능·논술 해결을 위한 수학적 전략 미분과 적분Ⅱ-〔함수〕편 지난 주 '자.수.전'에서는 미분과 적분의 관계에 대해서 공부했었다. 미분과 적분은 독립적으로 발생하고 정의되었지만,'미적분학의 기본정리'로부터 그 관계가 정립되고 적분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주 '자.수.전'에서는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이전 시대에 곡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과 그 수학적 의미를 살펴보겠다. 즉 구분구적법의 여러 가지 ...
-
진학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대입 전략-수시(1)
올해 수시 모집인원 지난해보다 3~12% 증가 전체 모집정원의 약 60%에 달해 모집정원 많은 수시 일반전형 논술 영향력 절대적 고려대·서강대 등 학생부우수자전형 신설 및 확대 서울대를 비롯한 주요 대학의 2009학년도 입학전형 계획안이 발표되었다. 자세한 수시 정시 모집요강은 추후 다시 발표하겠지만 수험생들은 우선 자신의 지원대학 입시안을 중심으로 지원 자격,전형 요소,반영 비율 등을 꼼꼼히 살펴보고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전형을 찾아...
-
학습 길잡이 기타
권호걸의 통합논술 뽀개기⑬
'글쓰기 21계명' 꼭 기억하자 논술 1계명. 논지는 세세하게, 사실은 간략하게 지난 시간에 다음과 같은 문제를 내주었다. 모두 풀어보았는가? "산업혁명 이후로 계속된 교통과 통신 등 과학기술의 발달과 공업의 발달은 인류에게 많은 물질적 풍요를 주었다. '아는 것이 힘이다'라고 말한 베이컨의 발전 지향적 사고에 따라 노력한 결과,재화의 생산량은 증대되고 공간거리는 단축된 것이다. 하지만 원숭이가 더 이상 맨발로 걸을 수는 없었듯이,...
-
교양 기타
(79) 사회과학의 명저를 찾아서 ⑤ 울리히 벡 '위험사회'
우리는 농약·원자력·스모그 등 각종 위험에 '동등하게' 둘러싸여 있다 시야가 흐릿해질 만큼 정신없이 돌아가는 현대사회를 명확하게 설명하기란 참으로 힘든 일이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복잡다단한 사회를 이해하고 정의내리려는 욕망 또한 그만큼 크다. 이는 모호하고 불명확한 현대사회를 바라보는 뚜렷한 척도를 마련하지 않고서는 어지러운 이 세상을 제정신으로 살아나가기가 힘겹다는 의미이기도 할 것이다. 현대사회를 하나의 공식으로 요약하면 이렇게 ...
-
학습 길잡이 기타
25. 명연설 읽기-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취임 연설문③
UN깃발은 미래의 횃불, 희망의 약속 꼭 지킬 것 두 차례(15,20회)에 걸쳐 반기문 UN 사무총장의 연설을 읽어 보았다. 오늘은 그 마지막 시간으로 연설의 결말부분을 살펴보도록 하자. 연설문도 일종의 논설문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논설문과 마찬가지로 서론과 본론, 그리고 결론으로 나뉘어져 있다. 아무리 좋은 주장을 했다 하더라도 결론 부분이 엉성하면 글의 전체적인 수준과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반기문 총장의 연설을 통해 특히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