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학습 길잡이 기타
수시2차 대비 - 경희대편 (2)
성열상 Sㆍ논술 자연계 대표강사 sys1040@naver.com
-
학습 길잡이 기타
(23) 사회적 약자 보호
▧ 들어가며… 오늘 배우게 될 주제는 사회적 약자 보호제도이다. 이는 종래 사회로부터 차별받아 온 일정한 집단에 대해 그동안의 불이익을 보상해주기 위해, 그 집단의 구성원이라는 이유로 취업이나 입학 등의 영역에서 직·간접적으로 이익을 부여하는 조치를 말한다. '적극적 평등 실현조치' 또는 '잠정적 우대조치'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Affirmative Action', 약자로 'AA'로 불린다. 우리 사회에서 약자는 누구일까. 대표적으로 경제적...
-
학습 길잡이 기타
<5> 핵심을 말하다 - (5) 경희대
경희대는 올해 새로 모의문제를 내면서 몇 가지 유형상의 변화를 주었습니다. 우선 이점들에 유의하면서 대비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 1: 볼펜으로 작성한다. 가장 큰 특징입니다. 간혹 가다가 이런 질문을 하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경희대 사회의 경우 수리논술이 있는데도, 볼펜으로 쓰나요?” 네. 맞습니다. 학교 측에서 일괄적으로 볼펜을 나눠주기 때문에 반드시 그것만 사용해야 합니다. 다른 필기구를 가져가도 쓸 수 없으니, 이 점을 유...
-
학습 길잡이 기타
이승민의 재미난 수학세계-박희성의 맛깔난 잉글리시
이승민의 재미난 수학세계 - 수학의 형식적 언어를 '나만의 쉬운 말'로! 수학 공부를 하다 보면 뜻은 어렵지 않은데 서술이 잘 이해 안 될 때가 있다. 수학적인 용어로 쓰여 있어 말이 좀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때문에 수학개념이나 공식을 그대로 외우기보다는 좀 더 쉬운 말로, 내가 알 수 있는 평범한 말로 바꿔 공부해 보면 훨씬 수학 공부에 효과적이다. x에 관한 항등식의 문제를 풀다 보면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라는 문장이 제시된...
-
경제 기타
통화스와프와 원화 국제화…외국 통화와 맞교환…국제 무대 나서는 원화
우리나라가 원화를 활용한 통화스와프를 잇따라 체결하고 있다. 그동안 외환위기에 대비해 미국·일본과 달러화를 매개로 비상자금을 주고받는 통화스와프는 여러 차례 있었지만 원화를 활용한 통화스와프는 이례적이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이달 들어 인도네시아, 아랍에미리트(UAE), 말레이시아와 연쇄적으로 약 2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 협정을 맺었다. - 10월22일 한국경제신문 # 통화스와프란? 통화스와프(Currency Swap·CRS)는 서...
-
TESAT 공부하기 기타
"한경 경제 캠프가 '우물 안 개구리' 깨우쳐 줬죠"
'제5회 테샛 경제 리더스 캠프'가 지난 19일 서울 동국대 캠퍼스에서 성황리에 끝났다. 대원외고 용인외고 한영외고 안양외고 대일외고 동탄국제고 미추홀외고 충남외고 등 특목고는 물론 대신고 휘문고 점촌고 고창북고 광동고 등 전국 각지에서 모인 120명의 우수 고교생은 대학 교수들로부터 수준 높은 경제강의를 듣고 대학 멘토 선배들로부터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도 배웠다. 이성구군(상산고 1)이 보내온 참가 후기를 게재한다. <편집자주> ...
-
경제 기타
편의점 심야영업 강요 금지는 옳을까요
공정거래위원회가 최근 가맹사업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주요 내용은 편의점의 심야시간대 영업 강제금지, 프랜차이즈 계약시 예상 매출액의 서면 공지, 점포 리모델링 비용의 20% 이상 본부 부담 등이다. 편의점과 빵집, 치킨집 등 프랜차이즈업체의 불공정한 영업행위를 규제하고 가맹점주를 보호하겠다는 취지다. 이 중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편의점 영업시간이다. 현재 대부분 편의점은 가맹계약시 24시간 동안 의무적으로 영업하도록 하고 있다. ...
-
경제 기타
"자유경쟁은 도덕성 촉진시켜"…독일 시장개혁의 토대
(40) 최소국가론의 선구자 이마누엘 칸트 18세기 대부분의 나라에선 자유가 유린당했다. 정부의 압제 아래 온갖 차별과 특혜가 난무했다. 왜 인간은 자유로워야 하는지, 인간이 어떻게 존엄한지 깨닫지 못했다. 폭정 노예 빈곤만이 지배했을 뿐이다. 인류가 이런 미성숙하고 참담한 현실을 극복하고 성숙한 계몽의 길로 가는 유일한 방법은 인간 존엄을 신봉하고 개인의 능력과 기회를 최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자유를 보장하는 사회라고 주장한 인물이 독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