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9) 고려시대, 재정과 경제 통합

    관료제 국가가 봉건제 국가와 달랐던 것은 중앙집권적인 재정제도가 성립되어 국가가 사회적 분업과 경제통합을 주도하고 있었다는 점이었다.(8회 참조) 봉건제 국가에서도 국왕이 있었지만 각 지방의 영주들에게 '불수불입권(不輸不入權·immunity)'이 부여되어 있었기 때문에 관료제 국가처럼 전국에 지방관을 파견하여 조세를 징수하거나 노동력을 동원할 수 없었다. '국왕 자활의 원칙'에 의해 자기 영지의 수입만으로 재정을 운영해야만 했던 봉건제 국가와 ...

  • 경제 기타

    (12) 수요와 공급을 변화시키는 요인들

    지난 시간에 이어 수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배워볼까요. 보완재의 가격도 수요를 움직이는 요인이 됩니다. 사람들은 피자를 먹을 때 콜라를 함께 먹습니다. 이럴 경우 콜라를 피자의 보완재라고 부릅니다. C라는 물건을 소비할 때 함께 소비하여 만족을 얻는 물건 D가 보완재인 것입니다. 야구 글러브의 보완재가 무엇일까요? 야구공입니다. 만약 야구공이 없으면 야구 글러브는 별 소용이 없으며 두 가지를 함께 소비해야 만족이 높아집니다. 비슷한 사례의 ...

  • 테샛 공부합시다

    '화제집중' 테샛 특강, 대학·고교서 인기 몰이

    “최근 터키의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무려 두 배 이상 올린 이유가 뭔가요?” “지난해 한국 경제가 별로 좋지 않았는데 1인당 국민소득은 2만6000달러로 늘어난 까닭은 뭘까요?” 지난 1일 부산 동의대에서 열린 테샛(TESAT) 특강 모습이다. 이 학교 투자동아리 DIP 회원 40여명은 강사인 강현철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의 질문에 진지한 표정으로 답한다. 테샛 특강 열기가 대학가와 일선 고교를 달구고 있다. 테샛이 국가공인 1호 경제·경영 ...

  • 학습 길잡이 기타

    학생부 종합전형 : 면접시험 접근법

    현민의 스토리면접 (10) Ⅰ. 들어가며 면접이란 무엇일까? 우리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하기 위해 '학교생활기록부 각 항목의 기재 의미'와 '자기소개서 작성 방법'을 하나하나 파악해 보았다. 이젠 대학입시에 합격, 불합격의 당락을 결정하는 면접의 기초부터 심화, 그리고 실전 시뮬레이션까지 하나하나 확인해 보고자 한다. 먼저 삼성의 입사 면접 사례를 살펴보자. 한승환 삼성SDS 인사팀 전무가 모의면접에서 던진 질문은 세 가지였다. (1) ...

  • 학습 길잡이 기타

    <24> 논술 유형 탐구 (4) 비판하기 유형 ③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까지 배운 비판하기에 대한 구체적 문제 풀이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문제. (가)의 관점에서 (나)의 남자교사 할당제를 비판하시오. (390~450자)(2011학년도 상명대학교 기출문제) (가) 자유 민주주의 사회에서 개개인이 보장받는 평등은 '결과에 있어서의 평등'이 아니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기회의 평등'일 뿐이다. 시민들은 누구나 스스로 최선의 자아를 실현하고 행복을 누리기 위하여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 대학 생글이 통신

    <230> 나머지 정리

    최준원 < S·논술 자연계 논술팀장 vach2357@gmail.com >

  • 진학 길잡이 기타

    수능 A·B형 선택, 모의평가 후 결정을

    2015학년도 대입 전략- 정시 (하)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기본계획을 지난 3월 발표했다. 작년과 동일하게 선택형 수능으로 진행하되 영어영역의 경우 수준별 시험이 폐지됐다. 국어 B형과 수학 B형은 수험생의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해 동시에 선택하는 것이 제한되고 EBS 교재ㆍ강의와 수능 출제의 연계율도 70% 수준이 되게 하는 등 기본 출제방향은 작년 수능과 동일하다. 수험생들은 월별로 실시하는 모의고사를 ...

  • 경제 기타

    푸드트럭 합법화는 옳을까요?

    정부는 지난달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민관합동 규제개혁 점검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는 여러 가지 규제개혁 요구가 이어졌고 그중 대표적인 것이 푸드트럭 허용 건이었다. 한 푸드트럭 개조업체 대표는 이날 대통령에게 푸드트럭 합법화를 요청했고 정부는 며칠 뒤 합법화하겠다고 밝혔다. 현행법상으로는 푸드트럭이 불법이지만 자동차관리법과 식품위생법의 시행규칙을 개정해 이를 허용한다는 내용이었다. 이는 국토교통부와 식약처가 범정부 차원에서 협업해 푸드트럭을...